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상향식 공천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천명하자 경기·인천 지역 정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논란이 불가피해졌다.

류 위원장은 15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상향식 공천'은 기존 정치인의 재생산에 유리하고 정치 신인의 유입을 가로막는다고 보고 상향식 공천을 지양하고, 전략공천 또는 책임공천을 통해 인재를 영입하기로 하겠다"고 밝혔다.

류 위원장의 말을 간추려 보면 "상향식 공천을 해서 지난 총선에서 패했다"는 논리였다. 그는 "상향식 공천이 지역사회 정치인의 기득권 유지에 유리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략공천을 빌미로 자기 사람을 심는 '사천'이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류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지역 정치권은 떨떠름한 반응이다. 시대 분위기에도 안 맞고 실현 가능성도 없고, 현실감도 떨어진다는 해석이다.

한 지역 정치인은 "며칠 전 지방선거에 대비해 시도당(경기·인천) 위원장을 새로 교체하고 조직을 재정비하고 있는데 중앙당에서 '밀실공천'을 하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대체로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착돼 가고 있고, 지분 분권 강화론 등 분권 개헌론이 제기되는 마당에 '뚱딴지'(?) 같은 소리냐는 격앙된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대꾸할 가치도 없는 발언"이라며 "당 지도부에 항의하겠다"고 말했다. "'제2의 이한구'가 나오겠다"는 비아냥도 터져 나왔다.

반면 류 위원장은 "당 지지율이 20%에 갇혀 있다"며 "이것을 돌파해 정권을 찾아오겠다는 것"이라며 공천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당 혁신위는 우파 정당으로서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 지방선거 공천자를 대상으로 당 정치학교에 의무적으로 입소시키는 방안도 마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지방선거 공천을 놓고 잠복돼 있던 당내 계파 갈등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는 당 사무처 1~3급 특정 당무직을 비롯, 사무처 당직자 및 직원들을 상대로 구조조정을 위한 희망 퇴직자 모집 공고에 들어갔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