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마크
뜨는 'G마크'-'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친환경 인증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아진 가운데, 경기도지사가 품질을 보증하는 'G마크'가 재조명을 받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월 용인시청에서 열린 2017 웰빙 한우 소비촉진 한마당 행사. /경기도 제공

공무원·소비자·도의원·전문가 참여
심의위서 현장실사뒤 '엄격 판단'
G마크 획득시 학교급식 공급 지원
道 판촉전 참여 전용관 납품 기회
'안전성' 신뢰 ↑… 신청 줄 이을듯


경기도지사가 도내에서 생산되는 먹을거리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G마크'는 인증 단계부터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소비자가 참여해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깐깐한 인증…합격률 10~20%

G마크 인증 과정에는 소비자단체 소속 회원들이 현장에 동행해 '매의 눈'으로 점검에 나서기 때문에 '대충' 혹은 '적당히' 등의 단어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경기도는 연중 4차례 농가와 업체로부터 G마크 인증 신청을 받고 있다.

이후 공무원과 소비자단체가 함께 하는 현장실사를 거친 뒤 경기도우수식품인증심의위원회를 열어 최종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위원회에는 관련 공무원과 생산자, 소비자, 도의원,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통과율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 실제 가장 최근에 열린 지난 6월 심의에서 16개 신규 업체가 인증을 신청했지만, 이중 G마크를 획득한 업체는 단 4곳 뿐이었다. 지난 2월 심의에서도 G마크 획득에 도전한 16개 업체 중 5곳만 통과했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한 번 심의할 때 10곳 정도가 지원한다면 평균 1~2곳만 인증을 받는 실정"이라며 "까다롭게 하는 만큼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더욱 높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G마크 획득, 뭐가 달라지나

엄격한 인증 과정을 뚫고 G마크를 사용하게 된 것 자체로도 상당한 의미가 있지만, 이로 인해 다양한 판로가 마련된다는 점이 큰 혜택으로 꼽힌다. G마크 인증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농가소득을 높인다는 제도 도입 취지에 부합하는 부분이다.

실제 G마크를 받은 업체의 상당 부분은 도내 학교급식과 연결되고 있다. 도는 지난 2007년부터 도내 학교들을 대상으로 G마크 우수축산물 학교급식지원사업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도내 1천830개 학교에 G마크 축산물 1만1천296t을 공급한 바 있다.

이 밖에도 도는 G마크 상품의 다양한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오는 10월 코엑스에서 열리는 G푸드쇼 등 도가 실시 하는 각종 브랜드 관련 판촉전에 참여할 수 있으며, 온라인 상의 경기사이버장터에도 수수료 없이 판매 코너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는 G마크 포장재도 공급하며, G마크 전용관에 납품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G마크 신청 줄 이을까

최근 살충제 계란 파동 이후 먹을거리 전반에 대한 도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동시에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친환경 인증에 대한 배신감이 팽배해진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안전성 면에서 신뢰를 받고 있는 G마크가 각광을 받고 있어, G마크 인증의 가치는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다가오는 민족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G마크를 획득하기 위한 농가와 업체들의 신청도 줄을 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 농산물 생산자는 "G마크를 받지 못한 제품은 소비자들로부터 소외 받을 것 같아 걱정"이라면서도 "다음에 G마크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도는 이달까지 접수된 업체를 대상으로 다음 달 중 인증을 위한 심의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오는 10월 다시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아무래도 G마크에 대한 관심과 신뢰가 높아지다 보면, G마크를 획득하기 위한 신청도 지금보다 훨씬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G마크를 도민들에게 최대한 홍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황성규·신지영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