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거리 불안이 여전한 와중에 경기도가 인증하는 'G마크'가 주목받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이 지난 14~16일 G마크 인증을 받은 D영농법인과 H양계농협 소속 10개 농가에 대해 살충제 함량을 검사한 결과 피검 농가들에서 살충제 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거나 기준치 이하로 확인됐다. G마크가 탄생 17년 만에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살충제 계란사태를 계기로 최근 정부의 일제검사에서 부적합판정을 받은 농장 52곳 중 60%인 31곳이 '친환경인증'농장인 점과 대조적이다. '친환경인증=살충제 인증'이란 비아냥이 회자될 정도로 정부의 친환경인증정책이 바닥으로 추락한 것이다. 농관원이 독점하던 친환경인증 업무를 민간에 대폭 이양한 것이 결정적인 이유이다. 농관원이 단독으로 심사하던 2005년 18건에 비해 2016년에는 무려 8천233농가가 친환경인증을 받은 것이 상징적인 사례이다. 돈벌이에 눈먼 인증업자와 농식품부 출신 공무원들이 야합한 범죄행위의 산물이었다.

반면 G마크는 인증단계에서부터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지난 6월 심의에서 16개 업체가 인증을 신청했으나 이중 G마크를 획득한 업체는 단 4곳뿐이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한번 심의할 때 10곳 정도가 지원하면 평균 1~2곳만 인증 받는 실정"이라고 언급했다.

경기도지사가 책임지고 도내 식품의 우수한 품질을 인증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어 농가소득을 높인다는 취지로 지난 2000년부터 시행해왔던 바 도의 명예가 걸린 만큼 신뢰담보에 올인할 수밖에 없었다. 현장실사 등 제반 심사과정은 물론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소비자단체가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잔류농약이나 유전자검사 등은 도내 공공기관에서 각각 진행해 담합여지를 원천봉쇄함은 물론 인증 획득 후에도 시민단체와 함께 위생, 안전, 품질에 대한 수시검사를 실시한다. 민선6기부터는 친환경 인증과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등 국가 인증을 받은 곳에만 신청자격을 주는 식으로 조건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G마크가 국내의 식품안전을 선도하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농업정책 전반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