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기초단체 절반이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인천지역 10개 기초단체 가운데 절반이 고령사회 진입을 의미하는 '65세 이상 인구비율 14%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중구와 동구, 남구를 비롯해 강화군과 옹진군 등 인천지역 5개 기초단체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섰다. 인천 동구의 경우 65% 이상 인구 비율이 18.6%를 기록했고, 남구는 14.3%, 중구는 14%를 기록했다. 특히 강화군과 옹진군은 각각 29.5%와 22.1%를 기록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도시의 고령화로 인한 문제는 원도심 지역의 슬럼화로 이어져 전반적인 쇠퇴를 초래할 우려가 높다는 점이다. 고령화에 대비한 도시계획, 주택대책과는 별도로 사회· 문화적 정책도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 고령친화적 도시계획이 의도와 달리 원도심 지역을 고령화 지구로 기정 사실화하고 도심 실버타운으로 고착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신·구도심 간 고령인구 양극화 경향도 더욱 벌어지고 있다.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연수구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8.5% 수준이지만, 강화군은 이미 30%에 근접하고 있어 그 격차가 3배 이상으로 뚜렷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도시균형발전 정책의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도시공간이 생애주기별로 구획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원도심 지역에는 청년층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청년세대가 유입되고 각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균형적 도시재생전략이 강구돼야 할 것이다. 인천시의 섬지역과 농촌지역, 구도심, 신도시 지역은 고령화 현상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도시지역, 특히 수도권 주요 도시들의 고령화 속도가 오히려 비수도권보다 빨라지고 있다. 고령화 현상에 대한 대책은 1인가구의 증가와 맞물려 있어 도시계획과 주택 대책의 전면적인 수정이 불가피하다. 단기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고령화에 부응하는 사회 문화적 정책이나 제도 마련도 간단한 과제가 아니다. 고령화 대책과 계획이 10년, 20년 단위 장기적 관점에서 수립돼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