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우리나라 실업률 상승 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대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8월 기준 실업률(계절조정)이 3.8%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하며 6월 이후 두 달 만에 상승 반전했다.
이번 한국의 전월 대비 상승 폭은 최근까지 8월 실업률 수치가 나온 OECD 회원국 25개국 가운데 오스트리아와 함께 가장 컸다.
OECD 회원국 중 스웨덴의 실업률이 0.5%포인트 하락하는 등 10개 국가의 실업률이 떨어졌지만, 한국은 오스트리아, 미국(0.1%P), 프랑스(0.1%P)와 함께 실업률이 상승한 4개국에 포함됐다.
회원국 전체 실업률은 5.8%로 지난 5월 이후 넉 달째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인 다른 회원국과 달리 한국의 실업률이 상승한 것은 청년층 실업률이 넉 달 만에 상승 반전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청년층(15∼24세) 실업률은 8월 10.7%로 전월보다 1.3%포인트 급등했다.
상승폭은 포르투갈의 1.6%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준이며, 지난 2월 2.1%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OECD 전체 청년층 실업률은 11.9%로 석 달째 같은 수준이다.
주요 7개국(G7)의 청년층 실업률은 10.5%를 유지해 석 달 만에 한국 청년층 실업률보다 낮아졌다.
한국의 25세 이상 실업률은 0.2%포인트 상승한 3.3%로, 청년층 실업률의 3분의 1 수준을 기록했다.
성별로는 한국의 남성 실업률이 3.9%로 0.3%포인트 오르며 OECD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여성 실업률은 0.1%포인트 상승한 3.6%를 기록, 남성 실업률을 밑돌았다.
OECD 전체로는 여성 실업률이 5.9%로 남성 실업률 5.6%보다 높았다.
전문가들은 구조적인 청년 실업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노동시장 이중성 문제를 해소하고 고용시장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LG경제연구원 강중구 연구위원은 "베이비부머의 자녀세대인 에코세대 인구가 늘어났지만, 청년들이 선호하는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이 신규 고용에 보수적인 상황이어서 청년실업률이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정부가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대신 이에 따른 불안정성의 책임을 사회가 떠안는 방식으로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16일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8월 기준 실업률(계절조정)이 3.8%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하며 6월 이후 두 달 만에 상승 반전했다.
이번 한국의 전월 대비 상승 폭은 최근까지 8월 실업률 수치가 나온 OECD 회원국 25개국 가운데 오스트리아와 함께 가장 컸다.
OECD 회원국 중 스웨덴의 실업률이 0.5%포인트 하락하는 등 10개 국가의 실업률이 떨어졌지만, 한국은 오스트리아, 미국(0.1%P), 프랑스(0.1%P)와 함께 실업률이 상승한 4개국에 포함됐다.
회원국 전체 실업률은 5.8%로 지난 5월 이후 넉 달째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인 다른 회원국과 달리 한국의 실업률이 상승한 것은 청년층 실업률이 넉 달 만에 상승 반전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청년층(15∼24세) 실업률은 8월 10.7%로 전월보다 1.3%포인트 급등했다.
상승폭은 포르투갈의 1.6%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준이며, 지난 2월 2.1%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OECD 전체 청년층 실업률은 11.9%로 석 달째 같은 수준이다.
주요 7개국(G7)의 청년층 실업률은 10.5%를 유지해 석 달 만에 한국 청년층 실업률보다 낮아졌다.
한국의 25세 이상 실업률은 0.2%포인트 상승한 3.3%로, 청년층 실업률의 3분의 1 수준을 기록했다.
성별로는 한국의 남성 실업률이 3.9%로 0.3%포인트 오르며 OECD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여성 실업률은 0.1%포인트 상승한 3.6%를 기록, 남성 실업률을 밑돌았다.
OECD 전체로는 여성 실업률이 5.9%로 남성 실업률 5.6%보다 높았다.
전문가들은 구조적인 청년 실업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노동시장 이중성 문제를 해소하고 고용시장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LG경제연구원 강중구 연구위원은 "베이비부머의 자녀세대인 에코세대 인구가 늘어났지만, 청년들이 선호하는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이 신규 고용에 보수적인 상황이어서 청년실업률이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정부가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대신 이에 따른 불안정성의 책임을 사회가 떠안는 방식으로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