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무단결석한 초·중·고교생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초등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예비소집 참석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초·중학생이 이틀만 결석해도 가정방문을 할 수 있는 등 '제2의 원영이 사건'을 막기 위한 대책(2월 27일자 22면 보도)이 쏟아져 나왔지만 장기결석 학생을 줄이는 데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2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병욱(민주당·분당을)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3월 2일 ~ 9월 1일)에 열흘 이상 무단 결석한 학생은 1만6천928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경기도의 경우 초·중·고등학생 합계 4천555명의 학생이 무단 결석을 했다고 집계돼 전국 최다 인원을 기록했다.

반면 경찰에 수사 의뢰된 무단결석 학생 수는 단 23명에 불과했다. 무단결석 학생의 안전을 확인하고 이들을 학교로 데려오기 위한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 학교와 교육청 차원의 제대로 된 매뉴얼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행 법령상 미취학·무단결석 관리 대응 매뉴얼을 살펴보면 6일 연속 결석할 경우 학교장이 학생 보호자에게 면담을 요청해야 한다. 학교장은 이를 교육장에게, 교육장은 교육감에게 보고하게 돼 있는 상황. 하지만 이 체계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 각종 범죄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인천에서 발생한 '11살 소녀 학대사건'은 장기 결석 중이었던 해당 학생을 관리 감독하지 않은 것이 사건의 발단으로 꼽히고 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장기결석한 피해학생의 소재 파악을 위해 학교가 미리 나섰다면 범죄를 양산하지 않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학교와 교육청은 아이들을 지키고 보호해야 할 기관이므로 소상하게 아이들의 소재를 파악하고, 장기결석 아동이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련 대책을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순기·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