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기안전공사, SK텔레콤은 '블록체인 기반 전기화재 발화지점 분석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기화재'는 발화지점 파악이 어려운 탓에 건물소유자, 임차인, 손해보험사 사이에 책임소재에 대한 법적 분쟁이 잦아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다.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전기화재 발화 형태의 80%를 차지하는 '아크'(전기적 방전에 의해 전선에 불꽃이나 스파크가 발생하는 현상)의 발생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해, 나중에 전기화재가 발생해 원인을 규명할 때 객관적 증거능력을 가진 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한다.

건물 각 층의 전기 분전반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기반 아크 센서가 아크 발생 정보를 수집해 5분 간격으로 무선 전송하고, 한국전기안전공사, 소방방재청, 손해보험사 등이 함께 참여하는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데이터를 검증·보관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전기화재 원인 감정·감식에 쓰일 수 있는 객관적 증거를 남긴다는 것이다.

과기정통부, 전기안전공사, SK텔레콤은 상업용·주거용 건물, 전통시장, 사찰, 축사 등 10개 장소에서 시범사업을 했으며, 내년에 20개 장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범사업 성과를 분석해 전국 주요 건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응용토록 유도한다는 과기정통부의 정책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컨소시엄 공모를 거쳐 SK텔레콤 주도로 한국전기안전공사, 코인플러그, 나래트렌드, 직토 등이 참여했다. 올해 12월 15일까지 7개월간 정부출연금 3억5천만원과 민간부담금 2억7천300만원 등 6억2천300만원이 투입된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