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901001259200059761.jpg
올해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울이 아닌 세종시로 나타났다. 사진은 세종시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올해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세종시로 나타났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 한신 15차 아파트 223.67㎡가 작년 말 대비 6억원 이상 올라 개별 아파트로는 금액 기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19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 현재까지 전국의 아파트값은 평균 4.44% 오른 가운데 세종시의 아파트값이 11.17%로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세종시의 아파트값은 올해 8·2부동산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으로 지정되기 직전까지 국회 분원, 정부청사 추가 이전 등의 호재가 겹치면서 고공행진을 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지난해 2.13% 오르는 데 그쳤다. 

세종에 이어 서울 아파트값이 11월 현재 9.23% 상승하며 뒤를 이었다. 재건축 아파트 단지와 도심지역 새 아파트를 중심으로 수요자들이 몰리며 11월 현재까지 누적 상승률이 작년 한 해 상승률(7.57%)을 넘어섰다.

구별로 송파구가 16.0%로 가장 많이 올랐다. 잠실 주공5단지의 50층 재건축 허용 등에 힘입어 재건축 단지는 물론 인근 일반 아파트값까지 강세를 보이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강동구가 15.09%, 강남구 11.05%, 서초구가 10.44% 오르는 등 강남 4개 구가 나란히 상위 1∼4위를 차지했다.

강남권 다음으로는 주로 도심권의 아파트값이 많이 올랐다.

성수전략정비구역 개발 등의 호재가 있는 성동구가 10.08%로 강북권에서 유일하게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고 광진(8.69%)·용산(8.58%)·노원(8.49%·마포구(8.35%)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광진구를 제외하고는 8·2대책에서 모두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곳들이다.

세종과 서울 외에 다른 지역들은 대체로 큰 폭의 상승세는 없었다.

경기도의 경우 평균 2.63% 올랐으나 지역별로 양극화가 심했다.

분당과 평촌 등 1기 신도시의 강세로 성남(7.3%)과 안양시(6.9%)의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고 하남 미사·위례신도시 등이 포진한 하남시(6.7%)와 구리(6.66%)·과천시(6.4%) 등도 상승폭이 컸다.

그러나 경기지역 전반에 걸쳐 입주 물량이 늘면서 김포(2.07%)·화성(0.63%)·용인시(0.11%) 등은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낮았다. 포천(-0.05%)·안성시(-0.17%)는 약세를 보였다.

지난해 10.74% 오르며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부산은 올해 청약조정지역 지정 등의 정부 규제로 2.5% 오르는데 그쳤다.

재건축 사업이 늘고 있는 대구시가 2.37% 상승했고 인천은 2.3%로 뒤를 이었다. 강원도는 최근 평창올림픽 특수와 서울∼강릉간 KTX 개통 호재로 1.58% 상승했다.

이에 비해 지역 경기 침체와 입주 물량 증가 여파로 울산(-0.58%)과 충남(-0.73%)·충북(-1.32%)·경북(-1.54%)·경남(-1.83%) 등은 가격이 하락하며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개별 단지별로는 서울 강남권 재건축 추진 아파트들의 가격 상승폭이 컸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 한신15차 아파트 전용면적 172.74㎡(공급면적 223.67㎡)는 작년 말 부동산114 시세 기준 29억5천만원에서 11월 현재 36억원으로 6억5천만원(22.0%)이 상승했다.

한신15차는 지난 9월 대우건설을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하고 연내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해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해간다는 계획이다.

역시 재건축 추진 단지인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 한신3차 전용 150.44㎡는 지난해 말 21억원에서 현재 26억7천500만원으로 5억7천500만원 상승했고, 강남구 압구정동 구현대6차 전용 196.7㎡가 작년 말 30억원에서 현재 35억원으로 5억원이 뛰었다.

재건축 단지는 아니지만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114.14㎡는 현재 평균 시세가 26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5억원이 상승했고, 강남구 압구정동 미성2차 140.9㎡는 4억7천500만원 올라 그 뒤를 이었다.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션 전용 167.21㎡는 작년 말 23억5천만원에서 현재 28억2천500만원으로 4억7천500만원 올라 비강남권 아파트 가운데 상승금액이 가장 컸다.

상승률로는 지방의 아파트값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대구시 남구 대명동 우방코스모스 전용 73.42㎡는 재건축 추진 호재로 지난해 말 1억1천500만원에서 현재 2억500만원으로 78.3%가 뛰었다. 개별 아파트 기준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또 1978년 준공해 재건축을 추진중인 대구 서구 평리동의 서신 아파트 전용 52.89㎡가 작년 말 6500만원에서 현재 1억1천500만원으로 76.9% 상승했다.

지난해 9월 입주한 세종시 소담동 새샘마을9단지 중흥S클래스리버뷰 전용 109.9㎡는 지난해 말 4억4천500만원에서 현재 7억2천250만원으로 62.4% 상승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