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세컨더리 보이콧 가능성
군사옵션 논의 제기 우려도
軍당국 미사일 3기 대응발사
문대통령, 美·日정상과 통화
무엇보다 미국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미국 내 군사옵션 논의가 제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일단은 경제·외교적 옵션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이날 도발에 대해 "매우 심각하다"면서도 미국의 기본적 대북 접근법이 바뀌느냐는 질문에는 "바뀐 것이 없다"고 말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도 이날 성명을 내고 "외교옵션이 현재 실행 가능하며 열려 있다"며 "미국은 비핵화, 그리고 북한의 호전적인 행동을 종식하는 평화적인 길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은 대북 압박과 제재 고삐를 더욱 당기면서 우선 북한 정권의 '생명줄'로 여겨지는 대북 유류 공급 제한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관·개인을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도 더 높아졌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긴급회의를 요청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도발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긴박하게 움직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7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 지·해·공 합동 정밀타격훈련을 개시하는 권한을 정경두 합참의장에게 위임한 데 이어 전날인 28일밤에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북한 상황에 대한 대면 보고를 받았다.
또 북한이 미사일을 쏘아올린 5분 뒤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 소집을 지시했다. 군 상황도 비슷했다. 군 당국은 미사일 발사 직후인 3시 18분 이를 감지했고 23분께 지대지·함대지·공대지 미사일 3기를 동시 발사했다.
문 대통령이 이와 함께 북한 도발 5시간여 만인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20분간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도발에 대해 강력 규탄하면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에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또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계속해 나감으로써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 한미 정상이 북한이 도발한 당일 통화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도 전화 통화하고 북한에 대해 더 강한 압박과 제제를 해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과 청와대는 이날 한미일 공조를 강조하면서 미국의 선제타격 가능성 차단 등 한반도의 긴장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황을 관리하는데 집중했다.
하지만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레드라인 선상에 가까워진 만큼 '대북 해법'을 재점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