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2월부터 토지·주택관련 업무에 드론이 본격 활용된다.
국토교통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215개 사업지구(389㎢, 2천238조원 규모)에서 조사·설계·공사관리 등에 드론을 우선 활용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고 3일 밝혔다.
그 동안 LH는 관련 용역과 시범운용을 통해 계획부터 시설물 유지관리 단계까지 주요사업 전 분야에 대해 드론 활용을 검증해 왔으며 5개 분야 12개 업무에서 드론을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기획단계에서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토지를 수용·보상하기 위한 현장조사업무 및 신규사업지구 결정, 사업지구 경계 설정을 위한 후보지 조사 등에 드론영상이 활용된다.
토지보상의 경우 사업초기단계에 항공사진을 일회성으로 촬영·활용하고 직접방문조사를 병행하던 방식을 수시 확보되는 드론 영상과 지적도·지형도 간 중첩·비교하는 방식으로 대체된다.
후보지 조사 시에도 주변 자연환경, 표고·경사, 토지이용현황 등을 드론영상으로 파악하여 사업지구를 결정한다.
설계단계에서는 시설물의 형상·속성정보를 실제와 동일한 3차원 정보로 구축하고, 공공측량에 적합한 수치지형도면 등을 제작하는 등 설계 및 토목BIM 구축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다.
시공·유지관리 단계에서도 공사현장의 공사진행 파악과 공정관리, 안전점검 등의 업무에 드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향후에는 주기적으로 촬영해 축적되는 공사현장의 드론영상과 사물인터넷(IoT) 장비를 장착한 건설기계·인력이동·건설관련 정보를 통합해 시기별 공사 통계정보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드론으로 취득된 다양한 공간·공사정보의 처리·가공·활용을 위해 LH는 세계 최초의 원스톱 운영시스템을 구축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전국 LH 사업지구 내 비행하는 모든 드론은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며, 중앙통제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지상관제장비(내비게이션, 경로추석, 스마트폰VIEW 등)를 통해 비행하게 된다.
현장(사업본부)에서 취득된 영상들은 중앙 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되며, 중앙 통제실은 수신영상을 GIS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정보는 현장으로 재전송되고 빅데이터 서버(도시플랫폼)에도 저장된다.
LH는 국산기술로 제작된 드론 25기를 도입한 바 있으며, 관련 운영시장 형성을 위해서도 일정 면적(약 30만㎡) 이상의 사업지구에서는 외주 용역을 통해 드론을 운용할 계획이다.
전국 LH 사업 현장에 드론을 전면 활용하는 경우 연간 2천500여회의 비행소요가 예측되며, 연간 약 250억원의 신규 드론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 연 130억 원이 소요되는 항공촬영 업무를 드론으로 대체하는 경우 비용은 절반 수준(1.8천만→0.8천만, 1㎢ 기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한 건설관리로 공사과정의 투명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사례는 다른 공공기관 및 민간 건설업계에도 선도적인 사례가 되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LH, 3차원 지적조사 '드론 먼저 띄운다'
215개 사업지구 조사·관리 활용
비용절감·年 250억원 시장 전망
입력 2018-01-04 01:08
수정 2018-01-04 09:5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1-04 8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종료 2024-11-18 종료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이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온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를 '화성시·평택시·이천시'로 발표했습니다. 어디에 건설되길 바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