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지역에 가출 청소년들이 머무는 '청소년 쉼터'가 턱 없이 부족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장기간의 보호가 필요한 남자 청소년을 위한 쉼터는 단 한 곳도 마련되지 않고 있어 시설 확충 등 지자체들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북부지역에서 집을 나가거나 강제로 내쫓긴 9세 이상 24세 이하 청소년들이 사회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청소년 쉼터는 의정부 3곳, 고양 2곳, 남양주·구리 각각 1곳 등 총 7곳이다. 경기남부지역에 21곳이 운영되는 것과 비교하면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나마도 7곳 중 2곳은 3일 이내의 보호만 받을 수 있는 일시 쉼터이며, 3곳은 3~9개월 간 머물 수 있는 단기 쉼터다. 갈 곳 없는 가출청소년들이 3~4년 이상 머무르며,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중장기 쉼터는 딱 2곳 뿐이다.

그러나 2곳 모두 여자 청소년을 위한 시설이다 보니 정작 남자 청소년들이 머무를 중장기쉼터는 한 곳도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지역에서 발생한 가출청소년 조차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16년 말 기준 경기북부지역에서 길가를 떠도는 가출청소년은 1천207명인 반면, 지난 한해 동안 지역 내 쉼터를 거쳐 간 가출청소년은 759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마다 400명 이상의 가출청소년이 정부와 지자체가 마련한 쉼터에 조차 머무르지 못한 채, 길 위를 배회하고 있는 셈이다.

이병모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경기지부장은 "쉼터의 정원 초과로 가출청소년을 못 받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며 "특히 경기북부에는 중장기 쉼터가 한 곳도 없어 학교를 다녀야하는 가출청소년을 돌보는 데 애로사항이 있다"고 말했다.

경기북부지역에 청소년 쉼터가 부족한 데는 지자체들과 위탁업체의 '외면'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자체는 쉼터 설립에 통상 5억원 가량이 소요되는 데다 설립 이후에도 매년 운영비의 50%를 내야 하는 실정이라 쉼터 운영에 소극적이고, 위탁업체들은 수익을 내기가 어려워 운영을 맡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구리시는 쉼터 설립을 위해 2차례에 걸쳐 위탁업체 모집공고를 냈지만 응모업체가 없어 설립이 무산되기도 했다.

도 관계자는 "청소년쉼터는 지자체가 설립 후 신고하는 구조라 지자체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도 역시 쉼터 추가 조성과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시·군을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를 통해 쉼터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