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하경제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20% 아래로 떨어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조사보고서를 보면 지난 2015년 기준으로 한국의 지하경제 규모는 GDP의 19.8%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지하경제를 세금이나 최저임금, 근로시간 등과 같은 규제, 통계조사 작성 등 행정절차를 회피하려는 이유로 정부 당국에 숨겨진 모든 경제행위를 포괄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1991년 30%에 육박하던 GDP 대비 지하경제 규모가 2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축소된 것이다.
같은 기간 전 세계 158개국의 GDP 대비 지하경제 규모는 1991년 평균 34.5%에서 2015년 27.8%로 축소됐다.
전세계 평균보다는 우리나라 지하경제의 축소 속도가 빠르다.
2015년 기준 GDP 대비 지하경제 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짐바브웨로 67.00%에 달했으며, 스위스가 6.94%로 가장 작았다.
조지아(53.07%), 나이지리아(52.49%), 가봉(52.01%), 미얀마(50.99%) 등은 경제규모 대비 지하경제가 큰 축에 속했다.
호주(8.10%), 오스트리아(9.01%), 캐나다(9.42%), 독일(7.75%), 아일랜드(9.58%), 네덜란드(7.83%), 뉴질랜드(8.97%), 영국(8.32%), 미국(7%) 등은 10%를 넘지 않았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일본(8.19%)의 GDP 대비 지하경제 규모가 가장 작았으며, 싱가포르(9.2%), 베트남(14.78%), 중국(12.11%), 홍콩(12.39%) 등도 우리나라보다 작았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