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의 군산 공장 폐쇄 결정은 GM본사와 부평공장 등을 두고 있는 인천과 다수의 협력업체가 있는 경기지역 등에 큰 충격을 던지고 있다. GM부평공장의 불안한 앞날과 경인지역 경제에 드리우는 암울한 전망들로 지역민심은 설 연휴 내내 흉흉했다. 군산공장의 폐쇄를 결정한 GM은 벌써부터 대출, 재정 지원, 3조원의 유상증자 참여 등의 지원을 요청하며 문재인정부를 집요하게 압박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군산공장에 이어 부평공장으로 구조조정을 확대하겠다는 심사다.

부평공장은 직접 고용 인력만 해도 창원과 군산공장 2곳의 2배 수준인 1만1천명에 이른다. 부평공장과 연계된 경인지역 1차 협력업체는 200여 곳, 2·3차 협력업체까지 합치면 2천여곳에 이른다. 부평공장이 구조조정에 들어갈 경우 노동자 정리해고와 부품을 대는 협력업체들의 줄도산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인지역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전문가들은 "부평공장이 흔들리면 경인지역 제조업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한국지엠이 이 지경까지 된 데는 일차적으로 경영실패가 주된 원인이다. 부품·제품 거래 과정에서 한국지엠이 손해를 보고 이익을 본사나 해외 GM 계열사에 몰아주거나 한국GM이 엄청난 연구개발비를 부담했지만, 이로 인해 형성된 무형자산은 모두 GM 본사의 몫이 됐다. 가령 2016년 영업손실이 5천220억원인데 비해 연구개발비로 6천140억원을 쏟아부었다. GM의 도덕성이 비난받는 것도 그런 이유다. 여기에 경영난에도 불구하고 강성노조로 인해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개선하지 못한 점도 뼈 아프다.

이미 우리는 이와 유사한 쌍용차 사태를 경험한 바 있다. 이를 타산지석 삼아 세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GM이 이렇게 우리를 농락하는 것은 자신들이 어떻게 하든 한국정부에 대책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제 더 이상 GM에 끌려다닐 수 없다. 이젠 청와대가 나서는 한이 있더라도 GM이 한국에 진출한 이후 얼마나 허접한 경영을 했는지 꼼꼼하게 따져 봐야 한다. 재발방지야말로 궁극적으로 경인지역 경제, 나아가 한국경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