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중요하게 여기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련해 인천이 그 시작과 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기념물 하나 제대로 서 있지 않은 상황이다.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1년 앞둔 지금부터라도 인천과 임시정부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기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줄곧 대한민국 정부가 상해 임시정부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 상해 임시정부는 출범 당시 한성임시정부를 계승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이들 임시정부는 모두 3·1운동의 결과물이다. 그 임시정부 수립의 시작점에 인천이 중요하게 등장한다. 3·1운동 직후인 1919년 4월 2일 전국 13도 대표자 회의가 인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에서 개최됐다. 한성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할 국민대회 준비 자리였다.
그러나 4월 2일의 대표자 회의가 어찌하여 인천 만국공원에서 열리게 됐는지, 그 장소는 구체적으로 어디였는지 등은 아직까지도 확연히 드러나 있지 않다. 임시정부 수립과 관련한 논문에는 인천 만국공원 회합이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지만 더 깊이 있는 연구 자료는 나오지 않고 있다.
그나마 단행본 중에서는 인천문화재단이 2006년에 펴낸 책 '만국공원의 기억'에 만국공원에서의 대표자 회의와 그 주역 홍진(1877~1946) 선생 이야기가 살짝 언급돼 있는 정도다.
1997년 '3·1운동 직후 국민대회와 임시정부 수립운동'이란 논문에서 인천 만국공원 회합에 대해 본격적으로 문제 제기를 한 이현주 국가보훈처 연구관은 "3·1운동의 결과물인 상해임시정부의 전사(前史)로서 인천 만국공원 대표자 회의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면서 "임시정부 수립의 역사 속에서 인천이 갖는 흔적이 뚜렷한 만큼 이와 관련한 연구와 기념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은 임시정부 수립의 시작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 이외에도 상해 임시정부가 해체되지 않고 끝까지 적통을 이어갈 수 있도록 버텨 낸 백범 김구와 관련해서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공간이다.
백범은 2번의 옥살이를 인천에서 했다. 그 과정에서 백범 김구는 신학문에 눈을 뜨는 등 '인간 김창수'에서 '백범 김구'로 승화했다. 하지만 인천에서는 여전히 그런 흔적을 제대로 느낄 수가 없는 실정이다.
김창수 인천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임시정부의 출발지점에서 빼놓을 수 없는 1919년 4월 2일의 인천 만국공원 회합에 대해 폭넓게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면서 "이번 기회에 인천에서는 임시정부 수립과 관련한 인연을 좀 더 깊게 들여다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정진오기자 schild@kyeongin.com
'임정 시작점' 인천, 출발도 못한 기념사업
3·1운동 직후 전국 13도 대표자 회합 열렸던 '만국공원'
'수립 선포 준비' 의의에도 관련 연구·흔적 찾기 어려워
입력 2018-02-28 22:48
수정 2018-02-28 22:4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3-01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