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3·1운동과 임정 100돌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한 다양한 기념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임시정부의 정신을 계승하여 국가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그동안 상하이, 항저우, 난징, 창사, 충칭 등 중국내 임시정부 유적지에 대한 학술조사는 상당 부분 이뤄졌으며 상하이와 항저우에는 임정기념관이 조성되어 있고, 임정 100돌을 맞아 서대문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임시정부수립 운동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져야 한다. 건국 100년 사업은 임시정부 수립을 대한민국의 기점으로 삼는 것으로 임시정부의 활동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 작업이기 때문이다. 3·1운동 직후 거족적인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정부형태의 민주공화기구가 절실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1919년 4월 2일, 인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의 전국 13도 대표자회의를 거쳐 조직된 '한성정부'이다.

만국공원에서 개최된 이 회의에는 전국 13도 대표자들을 비롯한 각계각층 대표가 참석하였다. 한성정부는 해외에서 수립된 임시정부와 달리 국토 내에서 국민들의 대표들이 수립한 정부라는 점에서, 그리고 민주공화체제의 여러 요건을 구비하였다는 점에서 정통성과 법통에서 우위에 있는 정부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1919년 9월 한성정부, 상하이정부, 노령정부가 통합할 때 한성정부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던 것이다. 대한민국정부는 1919년 4월 13일, 상하이의 망명정부의 형태로 수립되었지만, 국내에서 수립이 선포된 한성정부의 정통성을 계승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정부로 출범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인천은 일제강점기 정부수립운동의 중요한 사적지로 한성정부 구성을 위한 13도 대표자회의가 열렸던 곳이며, 대표적 독립운동가이자 임시정부 수반을 역임했던 백범 김구 선생이 두 차례나 투옥되어 수형생활을 했던 곳이기도 하다. 정부와 인천시는 3·1운동 100주년을 계기로 자유공원과 옛인천감리서 부지를 정부수립운동 사적지로 가꾸어 나갈 수 있는 사업을 검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