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미만 근로자 가운데 청년층만 비정규직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청년 취업자를 늘리는 것 못지않게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청년층(15∼29세)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은 2003년 8월 기준 31.8%였으나 2018년 8월에는 35.7%를 기록해 14년 사이에 3.9% 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따라 청년층 임금근로자 가운데 정규직으로 일하는 이들의 비율은 68.2%에서 64.3%로 역시 3.9% 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15세 이상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은 32.6%에서 32.9%로 변동했고 정규직 비율은 67.4%에서 67.1%로 변했다.
연령대별로 나눠보면 59세 이하 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이 증가한 것은 청년층이 유일하다.
30∼39세의 경우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의 비율이 2003년 8월에 26.3%였는데 2017년 8월에는 20.6%로 줄었다.
40∼49세는 31.2%에서 26.0%로, 50∼59세는 40.0%에서 39.9%로 각각 감소했다.
60세 이상의 경우 비정규직의 비율이 65.8%에서 67.3%로 늘기는 했으나 증가 폭은 1.5% 포인트로 청년층보다 훨씬 적었다.
청년층은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렵지만 취업하더라도 불안정 노동으로 내몰릴 확률이 높은 셈이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은 작년에 청년층이 22.7%를 기록해 15세 이상 전체 연령대의 고용보조지표3(11.0%)보다 훨씬 높았다.
전문가는 청년층의 비정규직 비율 증가는 취업난을 보여주는 일종의 지표라고 평가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원하는 일자리를 바로 얻지 못한 청년들이 학비를 대느라 생긴 빚을 갚거나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비정규직 일자리로 가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공채를 줄이고 현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경력직 채용이 증가하면서 노동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청년들이 정규직으로 취업하기 더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청년 취업자를 늘리는 것 못지않게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청년층(15∼29세)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은 2003년 8월 기준 31.8%였으나 2018년 8월에는 35.7%를 기록해 14년 사이에 3.9% 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따라 청년층 임금근로자 가운데 정규직으로 일하는 이들의 비율은 68.2%에서 64.3%로 역시 3.9% 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15세 이상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은 32.6%에서 32.9%로 변동했고 정규직 비율은 67.4%에서 67.1%로 변했다.
연령대별로 나눠보면 59세 이하 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의 비율이 증가한 것은 청년층이 유일하다.
30∼39세의 경우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의 비율이 2003년 8월에 26.3%였는데 2017년 8월에는 20.6%로 줄었다.
40∼49세는 31.2%에서 26.0%로, 50∼59세는 40.0%에서 39.9%로 각각 감소했다.
60세 이상의 경우 비정규직의 비율이 65.8%에서 67.3%로 늘기는 했으나 증가 폭은 1.5% 포인트로 청년층보다 훨씬 적었다.
청년층은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렵지만 취업하더라도 불안정 노동으로 내몰릴 확률이 높은 셈이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은 작년에 청년층이 22.7%를 기록해 15세 이상 전체 연령대의 고용보조지표3(11.0%)보다 훨씬 높았다.
전문가는 청년층의 비정규직 비율 증가는 취업난을 보여주는 일종의 지표라고 평가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원하는 일자리를 바로 얻지 못한 청년들이 학비를 대느라 생긴 빚을 갚거나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비정규직 일자리로 가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공채를 줄이고 현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경력직 채용이 증가하면서 노동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청년들이 정규직으로 취업하기 더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