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올해 초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DAS) 관련 수사를 본격화하자 10년 전 특검 수사 때와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가 감지됐다.
과거 특검 수사 때에는 '다스와 이명박 전 대통령은 무관하다'고 진술한 인물들이 말을 바꾸기 시작한 것이다.
이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 논란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것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다. 당시 당내 경쟁자였던 박근혜 후보 캠프는 이 전 대통령을 다스와 투자자문사 BBK, 도곡동 땅 등의 실소유주로 지목하고 재산 허위 신고 등 공직선거법 위반 가능성을 제기했다.
차명재산 의혹 제기에 대해 이 전 대통령은 "저와는 전혀 관계없는 처남과 큰형의 재산"이라고 선을 그었다. 자신을 둘러싼 의혹 제기에 대해 "새빨간 거짓말"이라고도 했다.
대선을 앞두고 검찰이 수사에 나섰지만, 의혹을 속 시원히 밝히지 못해 수사의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결국, 대통령 당선 직후인 2008년 1월 정호영 BBK 의혹사건 특별검사가 임명돼 약 40일간 이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 의혹 등을 재수사했다.
수사 과정에서 이영배 금강 대표, 이병모 청계재단 국장 등 재산관리인들이 이상은 회장 계좌에 예치된 도곡동 땅 판매 대금을 수천만원씩 주기적으로 현금 인출한 수상한 정황이 드러났지만, 특검은 결국 이 전 대통령을 무혐의 처분했다.
관련자들이 모두 차명재산 의혹을 부인하는 상황에서 진술을 깰 결정적인 물증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후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거치며 이 전 대통령의 다스·도곡동 땅 등의 차명보유 의혹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렇게 잊혀 가던 차명재산 의혹은 2013년 전후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다스 전무가 경영권 장악을 시도하면서 다시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BBK 주가조작 사건의 피해자인 '옵셔널벤처스' 측이 다스의 이권을 위해 외교당국을 움직인 혐의로 이 전 대통령을 고발하면서 차명재산을 둘러싼 의혹의 불씨가 되살아났다.
1월 들어 검찰이 수사를 본격화하자 소환자 중 일부가 과거 특검 때 했던 진술을 바꾸기 시작했다.
출발은 다스 대표이사를 지낸 김성우 씨였다. 그는 소환조사를 앞두고 자수서를 작성해 검찰에 제출했다.
자수서에는 이 전 대통령이 직접 다스의 전신인 대부기공 설립에 관여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조사 때에는 "다스는 이 전 대통령과 무관한 회사"라고 했던 것과 다른 내용이다.
과거 핵심 측근들이 등을 돌린 것도 수사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
이 전 대통령을 오랜 기간 가까이에서 보좌하며 '분신'으로 불렸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은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검찰 조사에 협조했다. 저축은행 사건으로 구속돼 복역할 당시 이 전 대통령이 그를 멀리하면서 관계가 틀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국가정보원에서 받은 10만 달러(현재 약 1억700만원)를 미국 국빈 방문 전 김윤옥 여사 보좌진에게 전달했다고 폭로하며 "이 전 대통령이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린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도 처음에는 수사에 협조하지 않다가 구속된 후 입을 열었다. 검찰은 김 전 기획관을 뇌물수수 등 혐의로 기소하면서 이 전 대통령을 '주범'이라고 지목했다.
이동형 다스 부사장도 검찰에서 이 전 대통령이 다스의 일정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며 아버지 이상은 회장의 지분 중 일부가 사실상 차명이라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자 진술 외에도 검찰은 이 전 대통령과 다스의 관계를 입증할 다양한 물증을 확보했다. 특히 다스가 입주한 영포빌딩의 지하창고에서 다스 경영에 청와대가 관여한 정황 등을 담은 다수의 문건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검찰이 14일 이 전 대통령 소환조사를 마치고 수사를 마무리할 때쯤이면 10년 전 특검이 차명재산 의혹에 관해 내린 결론을 뒤집는 수사 결과를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 전 대통령 측은 검찰이 정치적 수사로 거짓 결론을 내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과거 특검 수사 때에는 '다스와 이명박 전 대통령은 무관하다'고 진술한 인물들이 말을 바꾸기 시작한 것이다.
이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 논란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것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다. 당시 당내 경쟁자였던 박근혜 후보 캠프는 이 전 대통령을 다스와 투자자문사 BBK, 도곡동 땅 등의 실소유주로 지목하고 재산 허위 신고 등 공직선거법 위반 가능성을 제기했다.
차명재산 의혹 제기에 대해 이 전 대통령은 "저와는 전혀 관계없는 처남과 큰형의 재산"이라고 선을 그었다. 자신을 둘러싼 의혹 제기에 대해 "새빨간 거짓말"이라고도 했다.
대선을 앞두고 검찰이 수사에 나섰지만, 의혹을 속 시원히 밝히지 못해 수사의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결국, 대통령 당선 직후인 2008년 1월 정호영 BBK 의혹사건 특별검사가 임명돼 약 40일간 이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 의혹 등을 재수사했다.
수사 과정에서 이영배 금강 대표, 이병모 청계재단 국장 등 재산관리인들이 이상은 회장 계좌에 예치된 도곡동 땅 판매 대금을 수천만원씩 주기적으로 현금 인출한 수상한 정황이 드러났지만, 특검은 결국 이 전 대통령을 무혐의 처분했다.
관련자들이 모두 차명재산 의혹을 부인하는 상황에서 진술을 깰 결정적인 물증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후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거치며 이 전 대통령의 다스·도곡동 땅 등의 차명보유 의혹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렇게 잊혀 가던 차명재산 의혹은 2013년 전후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다스 전무가 경영권 장악을 시도하면서 다시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BBK 주가조작 사건의 피해자인 '옵셔널벤처스' 측이 다스의 이권을 위해 외교당국을 움직인 혐의로 이 전 대통령을 고발하면서 차명재산을 둘러싼 의혹의 불씨가 되살아났다.
1월 들어 검찰이 수사를 본격화하자 소환자 중 일부가 과거 특검 때 했던 진술을 바꾸기 시작했다.
출발은 다스 대표이사를 지낸 김성우 씨였다. 그는 소환조사를 앞두고 자수서를 작성해 검찰에 제출했다.
자수서에는 이 전 대통령이 직접 다스의 전신인 대부기공 설립에 관여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조사 때에는 "다스는 이 전 대통령과 무관한 회사"라고 했던 것과 다른 내용이다.
과거 핵심 측근들이 등을 돌린 것도 수사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
이 전 대통령을 오랜 기간 가까이에서 보좌하며 '분신'으로 불렸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은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검찰 조사에 협조했다. 저축은행 사건으로 구속돼 복역할 당시 이 전 대통령이 그를 멀리하면서 관계가 틀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국가정보원에서 받은 10만 달러(현재 약 1억700만원)를 미국 국빈 방문 전 김윤옥 여사 보좌진에게 전달했다고 폭로하며 "이 전 대통령이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린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도 처음에는 수사에 협조하지 않다가 구속된 후 입을 열었다. 검찰은 김 전 기획관을 뇌물수수 등 혐의로 기소하면서 이 전 대통령을 '주범'이라고 지목했다.
이동형 다스 부사장도 검찰에서 이 전 대통령이 다스의 일정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며 아버지 이상은 회장의 지분 중 일부가 사실상 차명이라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자 진술 외에도 검찰은 이 전 대통령과 다스의 관계를 입증할 다양한 물증을 확보했다. 특히 다스가 입주한 영포빌딩의 지하창고에서 다스 경영에 청와대가 관여한 정황 등을 담은 다수의 문건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검찰이 14일 이 전 대통령 소환조사를 마치고 수사를 마무리할 때쯤이면 10년 전 특검이 차명재산 의혹에 관해 내린 결론을 뒤집는 수사 결과를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 전 대통령 측은 검찰이 정치적 수사로 거짓 결론을 내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