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0901000741000036321.jpg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금감원으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연합뉴스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9일 국회의원 시절 수차례 외유성 출장 등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다.

김 원장은 이날 금감원 기자단에 보낸 '해외출장건 관련 추가 설명자료'를 통해 "지난 2015년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지원을 받아 미국·유럽 출장에 동행했던 여성 인턴이 정책 업무를 보좌하고 있었으며 승진 특혜를 받은 일도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지원으로 미국·유럽 출장에 동행한 인물이 정책 비서가 아닌 20대의 여성 인턴이었다는 지적에 대해선 "인턴이 맞지만 단순 행정 보조가 아니라 정책업무 보좌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의원 시절 비서와 인턴을 구분하지 않고 소관부처별로 담당자를 뒀다"며 "금융위와 공정위, 경제부처 산하기관은 보좌관과 비서관들이 담당하도록 했고 국무조정실과 국가보훈처는 6급 비서가, 국가권익위원회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인턴 2명에게 맡겼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해당 인턴이 출장 동행 이후 9급과 7급으로 고속승진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결원이 생길 때마다 주로 내부 승진을 시키다 보니 다른 인턴도 정식비서로 승진했고 기존 비서는 결원이 생길 때마다 9급에서 7급, 7급에서 6급으로 승진했다"고 답했다.

김 원장은 특히 출장비를 댄 KIEP의 유럽사무소 개설에 도움을 줬다는 비판에 대해선 재반박했다.

김 원장이 출장비를 댄 KIEP의 유럽사무소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고 지난 8일 주장한 것에 대해 일부 언론에서 다음 회의를 통해 김 원장이 유럽사무소 설립에 대한 예산 필요성을 '부대의견'에 담아 포함시켜 2017년도에 결국 반영됐다고 지적했다.

당시 언론에서 지적한 '부대의견'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유럽사무소 설립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2017년도 예산안 편성시 반영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김 원장은 "민병두·이재영·김상민 위원이 찬성 의견이었던 반면, 박병석 위원이 반대 의견이었다"며 "(예산소위)위원장으로서 여러 위원이 찬성하는 점을 감안해 부대의견으로 담자는 절충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