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제도가 또 크게 바뀐다. 1997학년도에 수시모집 제도가 도입된 후 25년 만에 수시·정시 구분이 없어진다. 수능 점수 위주로 뽑는 전형과 학생부 위주로 뽑는 학생부 종합전형 간의 비율이 조정돼 수능전형 비중이 높아질 전망이다. 대입 제도가 바뀌는 것은 광복 후 16번째다. '교육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무색하다. 평균 4년마다 한 번씩 바뀐 셈이다. 정권 교체기마다 바뀌는 입시제도가 불러온 교육 현장의 혼란이 재연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교육부는 11일 대입 선발 시기 개편과 고교 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방법 전환을 주요 골자로 하는 '대입제도 국가교육회의 이송안'과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대입전형은 선발방식과 모집 시기에 따라 정시와 수시로 나뉘는데, 현재 중3에 적용되는 2022학년부터 이런 구분을 없애겠다는 것이다. 전형을 간소화해 학생 부담을 줄인다는 기대와 함께 지원 횟수가 현재보다 줄어들 수 있어 학생들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시안은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국가교육회의에 상정돼 추가 논의를 거친 뒤 오는 8월 최종 결정된다. 확정안이 아니므로 국가교육회의 논의 과정에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2022년을 시행 시기로 정한 것은 새 정부 임기에 맞추려는 의도로 보인다. 역대 정권들이 입시정책을 무슨 큰 업적처럼 추진하다 실패한 사례는 너무도 많다. 충분한 논의 없이 갑작스럽게 추진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일어났던 교실의 혼란 사례를 다시 들추고 싶지 않다. 가령 이번 시안에 수시·정시 통합 외에 정시확대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는 것은 의외다. 최근 박춘란 교육부 차관이 일부 대학에 전화를 걸어 '갑질 논란'을 부른 게 정시 확대 때문이 아니었던가. 그런데 이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 개편안이 최종 확정되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있다. 그 기간 동안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들어야 한다. 학부모, 교육전문가 등 각계에 언로를 열어놓고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래야 탈이 나지 않고 일선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안에 대해 얼마나 많은 의견수렴을 했는지 모르지만 정권이 바뀐 후 무용지물 정책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