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2201001892400094381.jpg
사진은 장애인의 날인 지난 20일 오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이 서울 종로구 효자동 청와대 앞길에서 마로니에 공원을 향해 행진하는 모습. /연합뉴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가 전체 인구 1인당 연평균 진료 비용의 3배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438만9천원으로 전체 인구 1인당 연평균 진료비 132만6천원보다 3.3배 많았다. 장애인은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한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재활원은 장애인등록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급여 자료를 연계해 22일 등록장애인의 의료이용, 진료비 등 건강통계를 발표했다.

장애인 총 진료비는 200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 2015년 처음 감소해 10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002년(1조3천억원)보다 8.1배 많은 수치로, 등록 장애인 인구가 1.9배 증가한 것을 고려한 인구 증가율 대비 진료비 증가율도 3.4배에 달한다.

1인당 연평균 진료비가 가장 높은 질환은 신장 장애(2천500만원)였다. 가장 낮은 자폐성 장애(122만원)의 20.7배다.

간 장애(1천300만원), 뇌병변(780만원) 등이 1인당 연평균 진료비가 높은 편이었다.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에서 454만1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10대가 212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10대 이후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1인당 연평균 진료비도 늘어 만65세 이상 장애 노인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535만6천원에 달했다. 이는 전체 노인 인구의 1.5배 수준이다.

장애인이 가장 많이 앓는 질환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었고, 급성기관지염, 등·목·허리 통증, 본태성 고혈압, 무릎관절증 등 장애 관련 질환뿐 아니라 만성질환이 상위에 포함됐다.

복지부는 '장애인 건강권법'(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12월 시행됨에 따라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지정, 장애인 건강주치의제 도입 등 지역사회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범석 국립재활원장은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로 지정된 만큼 장애인 건강권 보장을 위한 지원과 연구 등 장애인 보건의료 중추기관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