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2501002212700110321.jpg
정규성 한국기자협회장(오른쪽)과 세드릭 알비아니 국경없는기자회 아시아지부장이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8 세계언론자유지수' 발표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언론자유지수를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언론자유지수가 지난해보다 20계단 오른 43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없는기자회(RSF)와 한국기자협회는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18 세계 언론자유지수'를 발표했다. 조사대상국은 전 세계 180개국이다.

한국은 아시아의 일본(67위), 중국(176위)은 물론 수정헌법 제1조에 '발언의 자유를 저해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는 미국(45위)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한국이 언론자유지수에서 미국보다 높은 순위에 오른 것은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2007년 이후 11년 만이다.

RSF는 "문재인 대통령 당선과 함께 언론자유의 어두웠던 10년이 끝났다"며 "10년의 후퇴 뒤 눈에 띄는 개선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한국 언론은 2014~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상대로 벌인 투쟁 과정에서 투지를 보였고, 인권 변호사 출신인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한국의 언론자유 상황은 전환의 계기를 맞았다고 RSF는 진단했다. 한국의 언론자유지수는 노무현 정부 당시였던 2006년 31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지만 2016년 70위까지 떨어진 바 있다.

2018042501002212700110322.jpg
세드릭 알비아니 국경없는기자회 아시아지부장이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8 세계언론자유지수' 발표 기자회견에서 세계언론자유지수 지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규성 한국기자협회 회장은 "언론자유지수에서 민주주의의 상징인 미국보다 두 계단 높다는 점은 고무적이고, 현 정부의 소통 노력과 한국 언론사들의 언론자유에 대한 의지가 높이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세드릭 알비아니 RSF 아시아지부장은 "한국의 지난 10년은 언론자유가 절대로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줬고, 국경없는기자회는 이런 개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 한국의 기자들과 시민사회의 엄청난 저항에 박수를 보낸다"며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8 세계 언론자유지수에서 노르웨이가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스웨덴이 2위, 네덜란드가 3위에 올랐다. 국가별 상세 내용은 국경없는기자회 홈페이지(https://rsf.org/en/ranking_table)에서 이날 오후 1시(한국시간 기준)부터 볼 수 있습니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