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허륭 교수(신경외과·사진)가 해외 학술대회에서 근긴장이상증(사경증)의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뇌심부자극술 치료 결과의 차이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근긴장이상증은 본인 의지와 관계 없이 목이나 머리가 어깨 방향으로 돌아가는 증상이다.
허륭 교수는 최근 대만에서 열린 '제11회 아시안-오세아니안 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학술대회(AASSFN·The Asian Australasian Society of Stereotactic and Functional Neurosurgery 2018)'에서 '고정형과 운동형 근긴장이상증 환자들의 뇌심부자극술 후 증상 완화 양상 차이'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발표를 통해 머리가 정중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으로 움직일 수 있는 증상을 운동형, 움직임이 어렵거나 이동할 수 없는 상태를 고정형으로 나눴다.
뇌의 특정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뇌심부자극술 치료 결과 운동형은 78%, 고정형은 58%의 개선 효과를 보였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허륭 교수는 "근긴장이상증은 많이 알려지지 않은 질환이다 보니 뇌졸중이나 뇌성마비로 오인할 수 있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