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갈등을 해소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경기도 차원의 민주시민교육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8일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경기도 민주시민교육의 길'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사회환경 다변화에 따른 시민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경기도 민주시민교육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분단의 특수상황과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로 사회구성원 간의 상호 이해와 융합이 요구됨에 따라 미래세대의 비판성, 개방성, 소통, 관용, 자율성과 같은 미주적 가치를 내면화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문화 다양성, 인권 존중과 같은 민주시민의 자질과 소양을 함양시키고 무분별한 정보 속에서 올바른 판단 능력과 책임의식, 건전한 소통방식 형성을 위해 필요하다. 또 풀뿌리 민주주의 등을 통한 국민 참여를 도모하고 국민주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는 '국민중심 민주주의'실현을 위해서도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민주시민교육은 시·도 교육청 주관의 인성·시민교육, 선거관리위원회 주관의 선거연수원 시민교육 형태로 진행됐으며, 도는 지난 2015년 민주시민교육 조례 제정 이후 지난해부터 경기도 민주시민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의 미수립, 콘텐츠·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부족, 도민과의 소통채널 취약 등의 문제로 일관된 민주시민교육 사업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도내 교육청·선거기관에서 운영하는 민주시민교육 사업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경기도형 민주시민교육 모델 개발방안으로 ▲경기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지역 특수성 반영한 경기도형 교육 콘텐츠 개발 ▲전문기관 인증제, 전문인력 양성 등 교육인프라 구축 ▲도민 인식조사를 통한 수요자 맞춤형 교육계획 수립을 제안했다.

최성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 민주시민교육은 정치적 중립성을 가진 독립적인 제도로 운영돼야 한다"며 "민주시민교육 정책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 형성으로 전문성과 다양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