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일방적인 연기로 16일 남북고위급회담 개최가 무산되면서 언제쯤 회담 일정이 다시 잡힐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의 모멘텀을 이어나가고 '판문점 선언'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고위급회담이 열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7일 "북한이 조속히 회담에 호응해 나와야 정상회담 합의사항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날 통지문을 통해 북한에도 이런 입장을 전달했지만, 속도를 내던 남북관계는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가는 분위기여서 고위급회담이 언제 열릴지는 미지수다.

정부 안팎에서는 이르면 이달 말 열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북한이 고위급회담 연기의 구실로 삼았던 한미연합공중훈련 '맥스선더'가 25일 종료되는데, 그 직후에 회담이 열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대북 소식통은 "과거에도 연합훈련이 종료된 뒤에 밀렸던 남북관계 일정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늦어도 내달 초에는 고위급회담이 열려야 6·15 남북공동행사와 8·15이산가족 상봉행사, 8월 아시안게임 공동참가 등 '판문점 선언'에 적시된 일정들을 원만하게 이행할 수 있다는 생각인 것으로 전해졌다.

고위급회담을 통해 큰 틀의 '판문점 선언' 이행 로드맵을 짠 뒤에 장성급 군사회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아시안게임 공동참가를 위한 체육회담 등을 진행한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그러나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까지는 고위급회담이 열리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우선 북한이 북미정상회담에 집중하느라 남북관계에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대남관계를 총괄하는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이 북미정상회담까지 최일선에서 챙기고 있어 고위급회담은 일단 뒷전으로 밀릴 소지가 다분하다.

동원할 수 있는 인력에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북미정상회담에 북한의 모든 협상·경호·의전 인력이 집중돼 있어 남북회담에 여력이 없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에선 남북관계는 정상회담으로 이미 큰 줄기를 잡았기 때문에 고위급회담이 다소 늦게 열리더라도 대세에 지장이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북 소식통은 "고위급회담이 설사 북미정상회담 뒤에 열리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면서 "선순환 구도에 따라 북미정상회담 합의를 통해 남북관계가 더 힘을 받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