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피내용(주사형) BCG를 결핵 백신으로 권장한다'는 내용을 삭제해 우리나라 결핵 예방 정책에 파장이 예상된다.

질병관리본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결핵 발생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WHO가 권고한다는 이유로 피내용 BCG만 국가예방접종사업(NIP)에 적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질병관리본부는 전량 수입하는 피내용 BCG의 국산화를 위해 제약회사 GC녹십자를 사업 위탁사업자로 선정하고 100억여원을 지원, 오는 2021년까지 자급 생산할 계획도 세웠다.

20일 의학계에 따르면 WHO는 2018년 BCG 백신 정책에 '피내용 BCG백신을 권장한다'는 대신 '전 세계에는 균주에 따라 다양한 BCG 백신이 존재하고 어떠한 특정 백신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새로 넣었다.

그간 WHO는 개도국의 결핵 감소를 위해 생후 4주 이내 영아에게 경피용(도장형·1인용) BCG보다 채산성이 높은 피내용 BCG(1병(바이알) 당 10~20명 접종)를 권장했다.

하지만 이화여대 목동병원 주사제 오염 사태 후 피내용 BCG에 대한 우려가 시작됐다. 피내용 BCG는 개봉한 뒤 4시간 안에 사용하는 탓에 한날 한시에 접종하다 보니 감기나 독감 등 질병 감염의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

또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10월부터 현지 공장 사정으로 중단됐던 피내용 BCG의 수입을 재개한다고 지난 17일 발표하자, 일부 부모와 의학계에서 반발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 대한소아청소년과 의사회 등은 2가지 백신 모두 국내에서 효과가 입증된 만큼 NIP에 모두 채택해 부모의 선택권에 맡기자는 주장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올해 WHO에서 'recommends(추천)' 단어를 제외했지만, 피내 접종법을 시행하라고 적시해 권장을 철회했다고 보기 힘들다"고 해명했다.

이에 강진한 대한백신학회장은 "피내용, 경피용 모두 피내에 접종한다. 국민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을 듯하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