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민주주의를 이끌 일꾼들을 뽑는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오늘부터 공직선거법에 의거한 차량 거리 유세, 선거공보물 발송, 선거 벽보 부착, 정보통신망 및 대담, 토론회 등을 이용한 선거 운동이 가능해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한 셈이다. 시간이 많은 것도 아니다. 2주일 이내에 단체장과 의원 그리고 교육감의 면면을 따져야 하니 유권자가 더 바쁘게 됐다. 하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후보자의 공약의 실체를 검증하지 않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유권자들에게 돌아간다.

우리는 이미 6번의 지방선거를 치른 경험이 있다. 때로는 무관심 속에서 치러진 선거도 있었고, 그런 선거 속에서 선출된 단체장들이 내 지역을 어떻게 이끌어 왔는지 똑똑히 보았다. 반대로 지역을 아끼고 나름대로 능력을 발휘하며 지역발전에 크게 공헌한 단체장도 경험했다. 그만큼 지방선거가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 역시 무관심 속에서 치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두 번의 남북 정상회담과 선거 전날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 등 국가적 대형 이슈에 밀려 유권자의 관심이 떨어진 점은 그래서 아쉽다.

그래도 선거일까지 올바른 선택을 위한 최고의 방법은 후보의 자질과 정책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다. 실현 가능성이 담보되지 않은 포퓰리즘성 공약을 남발하거나 도덕성에 흠집이 있는 후보는 먼저 과감히 걸러내야 한다. 파렴치한 전과, 탈세, 병역기피 여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대 후보에 대해 흑색선전을 일삼거나 학연·지연을 내세우며 사회 갈등을 조장하는 후보도 문제가 있다.

후보자들은 어떤 방법을 쓰든 당선만 되면 된다는 생각에 마구잡이 공약으로 유권자를 현혹하려 해선 안 될 것이다. 실현 가능한 공약과 페어플레이로 당당하게 유권자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네거티브와 흑색선전이 없는 차분하고 공정한 분위기 속에서 선거가 치러질 수 있도록 정치권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 후보들이 올바른 공약을 만들고 실행 계획을 갖추고 있는지 판단하는 책임은 오로지 유권자의 몫이다. 지방살림을 책임질 진정한 일꾼이 누구인지를 날카로운 매의 눈으로 가려내야 하는 이유다.

이번 교육감 선거가 단체장과 의원 선거보다 관심이 크게 떨어지는 것도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누가 출마했는지, 공약은 무엇인지 또 인간 됨됨이는 어떤지 이번 교육감 선거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