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천만t 바다로 흘러 들어
한국 1인당 소비량 연간 132.7t
선진국보다 많이 쓰고 관리부족
플라스틱 해양 유입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재활용을 확대하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공개한 동향 분석 자료에서 "학계, 민간업체,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해양 쓰레기 재활용 기술협의회'를 설립해 해양 쓰레기 재활용 기술과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KMI에 따르면 매년 해양으로 흘러드는 플라스틱은 약 1천만t에 달한다. 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나면서 작은 입자로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5㎜ 이하 플라스틱)이 된다.
미세플라스틱은 바다 생물의 몸속에 쌓이고, 이를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인체에도 해를 끼친다.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 폐어구는 수산 생물 피해, 선박 운항 장애 등의 문제도 일으킨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2015년 기준 132.7t으로 미국(93.8t)과 일본(65.8t)보다 많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해양 쓰레기 관리 정책은 유럽과 미국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게 KMI 지적이다.
2008년에 설립된 노르웨이의 농어업 폐기물 처리업체 '노피르사'는 폐어구를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유럽 9개국에 구축해 플라스틱 재생 원료를 생산한다.
미국은 2008년부터 주요 어항에서 폐어구를 수집해 금속 등은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전력 등 에너지 생산에 쓰고 있다. 일본은 스티로폼 부표를 파쇄해 압축한 뒤 보일러 연료로 제공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윤정 KMI 전문연구원은 "민간업체가 재활용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공공기관이 수거와 보관을 맡아 민간 재활용 업체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며 "폐어구 등에서 회수한 에너지를 어촌 주민에게 되돌려주는 '어촌형 순환경제 모델 개발' 등도 필요하다"고 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해양수산개발원 분석자료]인류 위협하는 '미세 플라스틱'… "해양 쓰레기 재활용 확대해야"
입력 2018-06-03 20:08
수정 2018-06-03 20:0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6-04 1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종료 2024-11-17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