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2401001792600089761.jpg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램프 업체들의 난제로 여겨졌던 '램프 안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기아자동차 'K9'의 헤드램프에 적용된 신소재 램프.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가 자동차 헤드램프 내부에 안개처럼 희뿌연 막이 생기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신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모비스는 국내 소재 전문업체 이니츠(SK케미칼 자회사)와 공동으로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플라스틱 신소재 개발에 성공, 이 소재를 사용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이 소재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고, 국내외 공동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램프 안개 문제는 램프 내부의 플라스틱 구성품에서 발생한 가스가 벽면에 흡착돼 뿌옇게 착색되는 현상이다. 미관상 좋지 않을뿐더러 배광 성능을 떨어뜨려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는 고온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플라스틱의 물리적 성질 때문인데, 글로벌 선진업체들의 헤드램프에서도 발생하는 현상이다.

많은 글로벌 업체가 해법을 고심했지만 램프는 소재 개발 조건이 까다로워 대부분 램프 내부구조를 변경해 이 문제를 피해왔다.

램프는 내부 온도가 200도까지 올라가고, 내외부 온도 차이가 심해 습기에 강해야 한다. 강한 진동에도 구성품이 흔들려선 안 된다.

현대모비스는 이런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플라스틱 소재에 유리섬유를 추가해 강성을 확보하고 여기에 고분자량 첨가제를 적용해 램프의 다양한 조건을 충족하면서도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이 신소재를 이달 초부터 생산 중인 헤드램프 전체에 적용해 안개 문제를 일괄 해결했다.

여기에 램프 각 구성 부품의 소재를 새롭게 개발·적용해 통상 5∼6㎏ 정도인 램프 무게를 20% 이상 경량화하는 데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동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해 렌즈, 베젤, 리플렉터, 하우징 등 각 구성품의 두께를 얇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원가 절감과 램프 기능 향상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설명이다.

현대모비스는 신소재를 적용한 램프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완성차업체 공략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램프는 기능뿐 아니라 차의 외관 디자인을 구분 짓는 대표적인 감성부품"이라며 "안개 문제를 해결한 신제품이 글로벌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