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관계에 훈풍이 불면서 가장 먼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지자체·민간단체 간 인도적 교류 사업이 생각보다 더디다.

여름철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벌였어야 할 인천·경기 접경 지역 말라리아 방역사업 재개는 한 발짝도 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4일 인천시와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등에 따르면 4·25 선언 이후 5~6월 중 재개가 예상됐던 남북한 접경지역 말라리아 방역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말라리아 방역사업은 남북협력 NGO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이 지난 2008년께부터 북한 쪽과 인접한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기금으로 벌인 사업이다.

인천시는 지난 2011년 강화도 지역 말라리아 발생 수가 증가하자 단체와 협약을 맺고 황해도와 DMZ 구역 일대 방역을 진행했지만 이듬해 남북 관계가 경색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전면 중단됐다.

시는 올 들어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말라리아 방역을 시작으로 민간 교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관계자는 "남북 당국이 만나면서 민간 교류가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봤는데 북한으로부터 답변이 오지 않았다"며 "북미정상회담까지도 기다려봤지만 크게 달라지지 않아 사업 여부를 확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포털을 보면 지난해 인천시 말라리아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74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경기 지역은 2.34명으로 두 번째다.

발생 수는 인천 강화에서 80명, 경기 파주·연천 등 접경지역에서 295명을 기록해 방역사업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외 대북협력 민간단체가 예상하고 준비해 온 민간 교류 사업은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어 사업 재개는 불투명해졌다.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최혜경 운영위원장은 "최근 남북관계 개선으로 많은 교류가 오갈 것처럼 보이지만 북한은 여전히 민간단체 지원을 받는 데 소극적이고 정부 역시 관, 특정 계층 주도 교류 사업만 벌이고 있어 국내외 인도적 지원이 전혀 재개되지 않고 있다"며 "민간 교류는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데 지금처럼 정부와 특정 계층 위주로 진행된다면 지자체나 민간의 교류 영역이 매우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