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오후 인천의 한 중고차 매매단지에서 만난 김모(47·지체장애 1급) 씨가 다음날 전화통화에서 한 말이었다. 처음 중고차 매매단지에서 만나 이야기를 했을 때 김 씨는 중고차 매매 사기를 당한 것 같냐는 물음에 "아직 잘 모르겠어요. 귀신에 홀린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그리고 다음날 '중고차 사기를 당한 것 같다'며 기자에게 연락이 왔다. 그는 마지막에 사기임을 직감하고 중고차를 구입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딜러들에게 처음 건넨 200만 원을 돌려받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김 씨뿐 아니다. 중고차 매매 사기 기획 취재를 하는 과정에서 관련 커뮤니티와 제보 등을 통해 다양한 피해 사례를 접했다. 자녀들과 여행을 다니기 위해 중고차를 구입한 싱글맘, 손님을 식당까지 태워주기 위해 중고차 구입을 결심한 60대 남성까지 대부분의 피해자들이 우리 사회에 사회적 약자들이고, 서민이었다. 그들에게 있어 중고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각자의 꿈이 담겨 있었다.
하지만 중고차 매매 사기 딜러들은 이들의 꿈을 무참히 짓밟아 버렸다. 강원도, 호남, 영남 등 전국에서 각자의 꿈을 안고 올라온 사람들을 좋은 차를 보여준다는 명목 아래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피해자들을 지치게 했고, 이 과정에서 협박도 일삼았다. 그렇게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지쳐서 집으로 돌아온 피해자들은 사기를 당한 사실을 깨닫고 며칠 동안 밤잠을 못 이루고 혼자 끙끙 앓았다고 공통적으로 이야기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지자체는 피해 사실을 입증하기 힘들다며 피해자들에게 입증 책임을 떠넘기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중고차 사기로 눈물을 흘리기 전에 지자체에서 중고차 사기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지자체의 역할은 주민들이 걱정하지 않고 마음 놓고 중고차를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김태양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k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