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10.9% 인상한 8천350원으로 결정한 데 대해 자유한국당이 날 선 비판을 내놓았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대통령의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을 폐기하라고 강조했다.
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14일 최저임금위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한 것과 관련한 구두 논평에서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대통령 공약에 무리하게 맞추려 한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정부는 일자리 상황과 임금 지급능력 등 경제여건을 고려해 대통령 공약을 폐기하고 최저임금 수준을 현실에 맞게 재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시간제·일용직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했고, 임금 지급능력이 없는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을 범법자로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함진규 정책위의장도 이날 "최저임금을 과도하게 인상하면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진다"며 "정권 내 목표치를 정해 강제로 인상 폭을 맞추려 하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대통령의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을 폐기하라고 강조했다.
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14일 최저임금위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한 것과 관련한 구두 논평에서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대통령 공약에 무리하게 맞추려 한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정부는 일자리 상황과 임금 지급능력 등 경제여건을 고려해 대통령 공약을 폐기하고 최저임금 수준을 현실에 맞게 재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시간제·일용직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했고, 임금 지급능력이 없는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을 범법자로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함진규 정책위의장도 이날 "최저임금을 과도하게 인상하면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진다"며 "정권 내 목표치를 정해 강제로 인상 폭을 맞추려 하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