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확대를 위해 청년들에게 자유로운 직업 탐색과 능력개발의 기회를 보장하고 이를 토대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경기도형 청년보장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새로운 청년 고용전략 : 청년보장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7년 동안 우리나라의 청년인구(15~29세)는 987만명에서 928만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청년실업자 수는 오히려 31만8천 명에서 42만6천 명으로 33.96% 증가해 청년 노동시장 환경은 악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의 경우 청년 실업률은 2017년 10.5%로 나타나 전국 평균인 9.8%를 상회하고 있다. 특히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높고 임금이 적은 저숙련 일자리가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는 통합적인 청년고용 정책으로서 청년보장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년보장제 도입 방향으로 ▲청년기본소득제도 및 중소기업연금제도 도입 ▲주거복지 확대 및 지역청년공간 설립 ▲실업유형별 지원 프로그램 구체화 ▲청년 통합 고용서비스 지원센터 운영 ▲지역특화산업과 연계된 청년창업 지원 확대 ▲청년모임 플랫폼 구축 및 자존감 회복 프로그램 운영 ▲타임뱅크 혹은 지역화폐와 결합한 참여소득제도를 제안했다.

최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지역 단위 청년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숙련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지역고용서비스기관을 허브로 하는 지역고용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