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 1년 만에 700만 명의 고객을 유치하는 등 좋은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7일 서울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등 당·정·청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터넷은행 규제혁신 현장방문 행사'를 열어 인터넷은행 1년의 성과를 평가하고 금융혁신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금융위는 인터넷은행 출범 1년 만에 700만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총 대출액이 8조원에 육박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2014년 비슷한 시기에 출발한 중국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해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앞서 있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실제 중국은 알리바바·텐센트·샤오미·바이두 등 4개 대형 ICT 기업에 인터넷은행을 인가했으며, 전자상거래·SNS·스마트기기·검색엔진 등 각 주력분야에 맞춰 키우는 전략을 선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작년 말 중국을 방문했을 때 거리의 작은 가게까지 확산된 모바일결제, 핀테크 산업을 보고 아주 놀랐다"면서 "실제로 EU나 일본, 중국 등은 핀테크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혁신기업이 이끄는 인터넷전문은행을 활성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의 제도가 신산업의 성장을 억제한다면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 은산분리라는 대원칙을 지키면서 인터넷전문은행이 운신할 수 있는 폭을 넓혀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규제를 완화하면 계좌개설, 자금이체, 대출 등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고 간편결제 등 혁신적 서비스가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신용정보가 부족한 사람이나 청년층 등에 대한 중금리 대출을 늘리고 자동입출금기(ATM)·해외송금 등의 수수료도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인터넷은행이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융합) 혁신의 개척자이자 금융혁신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며 금융·IT 업계와 일반 소비자의 사례를 소개했다.
케이뱅크와 협업하는 핀테크 기업 뱅크웨어글로벌㈜은 최근 2년 간 매출액이 연평균 70% 늘고 직원이 2배로 증가했으며, 필리핀 현지 3위 은행의 수신·결제시스템 구축 사업도 수주했다.
문 대통령은 케이뱅크의 '10분 내 계좌 개설', 카카오뱅크의 '주말·휴일 전·월세보증금 대출' 등의 서비스를 둘러본 후 핀테크 기업 페이콕㈜의 QR코드 간편결제를 체험하기도 했다.
한편, 국회에선 인터넷전문은행법,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신용정보법 등의 제·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7일 서울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등 당·정·청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터넷은행 규제혁신 현장방문 행사'를 열어 인터넷은행 1년의 성과를 평가하고 금융혁신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금융위는 인터넷은행 출범 1년 만에 700만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총 대출액이 8조원에 육박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2014년 비슷한 시기에 출발한 중국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해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앞서 있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실제 중국은 알리바바·텐센트·샤오미·바이두 등 4개 대형 ICT 기업에 인터넷은행을 인가했으며, 전자상거래·SNS·스마트기기·검색엔진 등 각 주력분야에 맞춰 키우는 전략을 선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작년 말 중국을 방문했을 때 거리의 작은 가게까지 확산된 모바일결제, 핀테크 산업을 보고 아주 놀랐다"면서 "실제로 EU나 일본, 중국 등은 핀테크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혁신기업이 이끄는 인터넷전문은행을 활성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의 제도가 신산업의 성장을 억제한다면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 은산분리라는 대원칙을 지키면서 인터넷전문은행이 운신할 수 있는 폭을 넓혀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규제를 완화하면 계좌개설, 자금이체, 대출 등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고 간편결제 등 혁신적 서비스가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신용정보가 부족한 사람이나 청년층 등에 대한 중금리 대출을 늘리고 자동입출금기(ATM)·해외송금 등의 수수료도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인터넷은행이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융합) 혁신의 개척자이자 금융혁신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며 금융·IT 업계와 일반 소비자의 사례를 소개했다.
케이뱅크와 협업하는 핀테크 기업 뱅크웨어글로벌㈜은 최근 2년 간 매출액이 연평균 70% 늘고 직원이 2배로 증가했으며, 필리핀 현지 3위 은행의 수신·결제시스템 구축 사업도 수주했다.
문 대통령은 케이뱅크의 '10분 내 계좌 개설', 카카오뱅크의 '주말·휴일 전·월세보증금 대출' 등의 서비스를 둘러본 후 핀테크 기업 페이콕㈜의 QR코드 간편결제를 체험하기도 했다.
한편, 국회에선 인터넷전문은행법,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신용정보법 등의 제·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