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올 6월 117건… 인천 24건
시화·반월 소규모 사업장 많은 탓
중앙부처 '핑퐁' 정책개선 목소리

경기도가 화학물질 사고 최다 광역지자체의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13일 환경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18년 6월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화학사고(424건) 중 27.6%인 117건이 도내에서 발생했다. 도에 이어 경북 51건, 울산 32건, 충남 31건, 인천 24건으로 뒤를 이었다.

도내 사고 발생이 빈번한 까닭은 시화 국가산단과 반월 국가산단에 소규모 사업장 수가 많기 때문이다. 도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은 2016년 기준 4천928곳으로 전국 1만9천709곳 중 25%다.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도 잇따르고 있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안성의 한 대학교 연구실에서 실험실 이사 중 창문턱에 올려놓은 과산화수소 용기(20ℓ) 3개 중 2개가 떨어져 파손되면서 이사용역업체 근로자 2명이 얼굴과 다리 등에 화상(1도)을 입었다.

화학물질 사고를 담당하는 한강유역환경청에서도 지난해 9월 단속 의뢰 폐수(절삭유 함유)의 중금속 등 분석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반응용기(킬달플라스크 500㎖)가 폭발해 직원 2명이 다쳤다.

지난해 9월 안산 소재 경인도금협동화단지의 한 공장에선 약 180ℓ규모의 세척조(질산 68%) 내부 온도조절을 위한 부동액관이 파손돼 노란색 질산 연기가 발생해 직원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진찬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유해물질관리부장은 "근로자들이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알 수 있도록 사업주들이 물질 특성에 따른 사전 예방 교육을 철저히 해야 한다"며 "사고 발생시 유관기관에 즉시 신고하고 환기 등 행동요령과 보호구 착용 절차도 숙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산업안전보건법)와 환경부(화학물질관리법), 산업통상자원부(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으로 산재해 있는 화학물질 관리 유관 정부부처의 유기적인 통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근원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소장은 "흩어져 있는 사고대응 주체를 해당 지자체와 소방 기능으로 명확히 하고, 중앙정부 부처는 핑퐁게임을 멈추고 안전관리 정책을 점검하고 전문가를 육성하는 지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성배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