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의 감시망을 뚫고 '마약 청정국(10만명 당 마약사범 20명 미만)'인 국내로 반입된 마약이 사회 곳곳에 녹아들고 있다.

특히 마약이 인터넷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메신저를 통해 청소년과 주부 등에까지 검은손을 뻗치고 있다.

27일 관세청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관세청에 적발된 마약류는 총 429건(69.13㎏·시가 880억원 상당)으로 전년(382건·50.04㎏) 대비 12%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로별로는 국제우편 270건(63%), 특송화물 83건(19%), 여행자 73건(17%) 순으로 '해외 직구'를 가장한 마약 밀반입이 전년보다 건수와 중량 모두 급증했다.

도내 마약류 범죄자도 매년 증가 추세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이 검거한 마약사범은 2016년 744명(남 596·여 146·법인 등 2명)에서 2017년 950명(남 726·여 223·법인 등 1명)으로 27.6% 증가했다.

마약류 범죄에 연루된 연령층은 20~30대가 두드러지게 많았다. 지난해 경찰에 적발된 20~30대 마약사범은 480명으로 전년(317명) 대비 51.4% 급증했다.

경찰은 "이제는 마약이 단순 호기심이 아닌 수익과 직결돼 밀반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지난해 10~12월 인터넷에 약 70회의 필로폰 판매광고를 하고 캄보디아에서 마약을 밀수해 판매한 조직원 11명 중 9명이 고수익을 노린 20~30대였다. 이들이 밀수한 필로폰은 1만명 이상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이었다.

위험한 물건인지 알지 못하고 지인의 부탁을 받아 마약을 운반한 속칭 '지게꾼' 황모(여)씨도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져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박진실 마약 범죄 전문 변호사는 "보이스피싱 운반책들이 범죄에 연루된다는 사실을 모르고 범행을 저지르는 것처럼 마약 범죄도 그런 추세로 가고 있다"며 "투약자는 치료 차원의 대책과 함께 공급책에 대한 단속과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김영래·손성배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