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업계 오늘 '민관대응회의'
가전·반도체 생산지 전환 등 모색

트럼프 "한미FTA 개정, 공정합의"

미·중 무역분쟁이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정부와 국내 기업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20일 업종별 단체, 수출지원 기관 등과 공동으로 '민관 합동 실물경제 대응반 회의'를 열고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업계의 영향을 분석하는 동시에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생산하는 일부 가전제품 등이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된 데다 향후 추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에서다.

앞서 산업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직후인 지난 18일 강성천 통상차관보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했다. 한국산 중간재가 중국에서 생산되는 완제품에 상당수 들어갈 경우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보고 정부와 업계는 생산지 전환 등 향후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가전, 반도체 업체들은 관세 부과로 인한 가격 경쟁력 차질에 대비해 생산지 전환 등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냉장고 중 10%가량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중국산 냉장고가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생산지를 멕시코 등으로 옮기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냉장고와 가정용 에어컨 물량의 일부를 중국에서 생산하는 LG전자도 우리나라와 베트남, 멕시코 등 관세 영향권 밖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반도체의 경우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으나 D램 모듈 일부가 해당되면서 일부 업체는 생산지 조정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D램 제품은 현지에서 모두 소화하고,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면 된다"면서 "이미 대책을 마련하고 있었기 때문에 별다른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안에 대해 "공정한 합의(fair deal)"라고 평가했다. 이달 말 유엔총회 기간에 공식 서명할 의사도 재확인했다.

19일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한국과의 무역협정은 완전히 재협상 됐으며, 서명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유엔(총회)에서 또는 그 후에 곧 서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국은 지난 3월 한미FTA 개정협상을 원칙적으로 타결했으며,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미 정상이 만나 개정안 서명식을 하는 방안을 협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