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접근 기회 '구조적인 박탈'
일정비율 '의무게재' 유력 해답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경인일보를 비롯한 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 9개 회원사는 매주 목요일자에 '한신협 공동칼럼'을 연재한다.

칼럼은 우리나라 지역언론이 직면한 위기와 언론시장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역언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디지털 뉴스시대에 걸맞게 지역민들이 지역 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접근권을 확보하고, 건전한 지역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집중 고민한다. → 편집자 주

지역언론이 위기다. 위기론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서 많은 책임감을 느낀다. 지난 4월에 여야의원 13명의 공동서명을 받아 일명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을 대표발의했다.

이 법안의 요지는 국민 대다수가 매일 이용하고 있는 네이버 등 포털의 첫 화면에 일정비율 이상으로 지역언론 기사반영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포털에 노출되는 뉴스가 중앙언론에 집중돼 있는 불균형과 차별을 개선해야 지역언론이 살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때문이다.

지역언론의 육성 필요성은 여러 차례 제기되었고 공감대도 형성되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되지 못했다.

지금도 지역언론의 뉴스는 전국적으로 인터넷 등 포털을 통해 많은 독자들이 읽고 있다. 특히 지역을 특화한 지역언론의 기사들, 예를 들어 지역 맛집이나 추천여행지 등에 대한 뉴스나 콘텐츠를 이용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사나 콘텐츠는 중앙언론보다는 지역언론이 더 경쟁력이 있다.

현재 뉴스 소비의 주류는 포털이다. 가장 많은 국민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종이신문을 보는 데 하루 평균 5분을 사용한 반면, 모바일 등을 통한 뉴스 소비는 하루 평균 1시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포털에서 지역언론의 기사나 뉴스를 쉽게 찾고 접할 수 있는 기회가 구조적으로 박탈되어 있다.

이는 뉴스시장의 지배적 지위에 있는 포털에 많은 책임이 있다. 하지만 그동안 포털사는 지역언론의 뉴스를 노출해 달라는 지역언론사들의 요구에 대해 기술적 문제나 시장성 문제 등을 들어 외면해 왔다.

우리 국민 90%가 사용하는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의 메인화면은 뉴스로 시작된다. 이러한 뉴스 서비스를 통해 포털은 엄청난 부를 축적했다.

하지만 전체 지역언론의 매출을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벌고도 지역뉴스에 대해선 1원도 쓰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는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살고 있다. 서울이나 수도권 역시 전체로 보면 한 지역에 불과하다. 하지만 포털 메인화면에는 지역언론의 뉴스가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중앙언론 기사 일색이다. 이는 중앙언론과 지방언론 간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또한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문제에 대해 외면하게 만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작 국민들 각각의 생활과 삶에 중요한 지역의제는 축소되고, 생활정치와 지방자치의 핵심기반은 붕괴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력한 해법은 포털이 지역언론의 기사를 일정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게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지역뉴스가 뉴스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소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금까지 거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 지역뉴스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이를 통해 지역언론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기술적으로도 어렵지 않다. 경제적 부담을 주는 것도 아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 포털이나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가능하다.

지금은 포털시대이다. 포털이 공론장이고 미디어이다. 또한 포털이라는 인터넷 공간에는 중앙과 지방이 있을 수 없다. 차별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 포털에는 차별이 심하다.

이는 뉴스공급자인 포털에게도, 뉴스생산자인 지역언론에게도, 뉴스 소비자인 국민에게도 상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라도 '포털-지역언론-국민' 모두가 상생하는 길을 열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