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당선 김문수 前지사 공약
도내 시·군 23개지구서 조성추진
사업성 악화로 8개 지구만 남아
현재 첫삽 뜬 곳은 '광명'이 유일
공공차원 대안 마련 목소리 커져


2007년부터 2008년 사이 경기도 곳곳에 뉴타운 광풍이 불었다.

2006년 당선된 김문수 전 도지사의 공약이기도 했다. 2008년 총선에서도 국회의원 후보들도 저마다 뉴타운 사업을 약속했다.

 

경기도에서만 12개 시·군 23개 지구에서 2020년을 목표로 뉴타운 조성이 추진됐었다. → 표 참조

2018110601000411600018231

상황이 반전된 것은 총선이 끝난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08년 말 무렵. 세계금융위기 여파 속 부동산 경기는 침체됐고 뉴타운 역시 사업성에 직격타를 맞았다.

터전을 잃을 처지인 원주민들의 원성도 커져갔다.

곳곳에서 사업을 찬성 혹은 반대하는 주민들간 갈등이 이어졌다. 군포 금정지구, 평택 안정지구가 주민들의 반대로 연달아 무산됐다.

사정이 이렇자 김문수 전 지사는 2011년 사실상 뉴타운 정책의 실패를 인정하며 사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후 경기도내 뉴타운은 줄줄이 없던 일이 됐다.

2011년에만 5곳에서 사업이 무산됐고 2012년에도 3곳이 해제됐다.

부천시의 경우 2014년 관내 모든 뉴타운 사업지구를 직권으로 해제했다. 2015년에는 남양주 퇴계원지구, 2016년에는 평택 서정·신장지구가 차례로 해제됐다. 23개 지구 중 15곳이 해제돼 남은 곳은 이제 8곳뿐이다.

8곳 중 현재 첫삽을 뜬 곳은 광명뉴타운 한곳 뿐이다. 나머지는 뉴타운 지구로 지정된 지 10년이 넘도록 공사도 시작하지 못한 상태다.

8개 지구 내 40개 구역 중 절반이 넘는 22곳가량은 사업시행 인가조차 이뤄지지 못할 정도로 지지부진하다.

18곳은 조합을 구성하는 정도에 그쳐 있고 4곳은 그마저도 하지 못했다.

사업 계속 추진을 주장하는 주민들과 해제를 요구하는 주민들간 갈등의 골만 깊어지고 있다.

사정이 이렇지만 논의의 테이블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못했고, 급기야 고양 등 일부 지역에선 수년 동안 사업 추진의 타당성 문제를 두고 법정 공방마저 일었었다.

그러는 사이 도시재생사업의 흐름은 뉴타운처럼 일괄 철거한 후 다시 지어 올리는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노후화된 지역을 소규모로 개선하는 방식으로 전환된 상황이다.

정책의 무게 추가 옮겨가면서 뉴타운은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공공 차원의 종합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이유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