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방문한 영흥화력발전소의 모습은 한마디로 '압도적'이었다. 면적 8.26㎢의 땅에 30m 높이의 전기터빈, 100m 높이의 석탄보일러 등으로 구성된 발전시설 6기와 수십만t의 석탄을 저장하는 저장고가 자리 잡고 있었다. 그 거대한 모습에 자연스레 '저기서 뿜어내는 오염물질도 어마어마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영흥도 주민들은 가동 제한 조치에 생각보다 무덤덤했다. 10년 넘게 화력발전의 피해를 겪어온 이들에게 20%의 제한 조치는 크게 와닿지 않는 듯했다. 그 와중에도 주민들이 유일하게 지적한 문제가 바로 발전소 1·2호기의 환경 시설이었다.
1·2호기는 영흥화력발전소의 '문제아'다. 이 두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발전소 전체 6기 오염물질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또 그 농도 또한 타 시설에 비해 약 2~3배가량 짙다. 더 강한 오염물질을 배출한다는 의미다. 이는 모두 두 시설이 오염물질 배출기준이 강화되기 이전 만들어진 탓이다.
현장에서 만난 직원들은 화력발전 특성상 오염물질 배출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1·2호기 가동 중단 주장에 대해서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중단에 따른 비용소모, 오염물질 과다 배출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대신 그들이 내놓은 해답은 환경시설 개선이다. 2021년까지 1·2호기의 오염물질 저감 시설을 타 시설 수준으로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발전소 측이 계산한 실제 공사 기간이 약 1년인 점을 감안하면 2020년에야 교체 작업에 돌입하게 된다.
화력발전이 멈추지 않는 한 영흥화력발전소는 1년 365일 돌아간다.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낙인 찍힌 대기 오염물질도 계속 배출될 것이다. 그 피해는 영흥도 주민뿐만 아니라 인천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천500만 명의 국민이 감수해야 한다. 한국남동발전이 영흥화력발전소의 환경 시설 개선을 서둘러야 할 이유다.
/공승배 인천본사 사회부 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