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집사육 개선 친환경약품 사용나서
'겨울철 휴업' 유도 보상제도 확대
중소형 농가 산란계 감소상황 불구
대규모 사육 두수 되레 늘어 '위험'
中등 인접국 고병원성 검출도 '우려'


올 겨울 들어 전염성이 강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바이러스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도내 양계농가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AI에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농가와 경기도는 자발적 사육두수 감축, 동물복지농장의 확대를 통해 피해를 예방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밀집 사육이 이뤄지고 있는 '기업형 농가'와 세계적인 고병원성 AI의 유행은 여전히 뇌관으로 남아 있다.

■ AI 어떻게 대비하고 있나

지난 2016~2017년 겨울, 경기도를 강타한 H5N6형 AI로 도내에서 모두 1천588만수의 가금류가 살처분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방역 당국은 사상 최악의 AI 사태 원인으로 '밀집 사육'을 지목했다. A4용지 한 장 크기만도 못한 0.05㎡의 좁은 공간에서 닭이 사육되다 보니 면역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전염 속도도 빠르다는 분석이었다.

이 때문에 올해부터 신규 농장에 한해 마리당 사육 면적을 0.075㎡로 상향해 '공장식 밀집 사육'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도는 자체 조례를 제정해 넓은 사육면적을 적용하고 친환경 약품을 사용하는 '가축행복농장'도 33곳을 지정했고, 7곳은 지정을 앞두고 있다.

철새 도래지 인근 가금류 농가가 겨울철에 휴업을 하도록 유도하는 '휴업보상제'도 확대 시행됐다.

기존에 휴업보상제를 최초로 시행한 안성을 포함해, 고양·용인·여주·평택의 오리 농가 29곳과 고양·이천·화성·포천의 토종닭 농가 12곳 등 모두 41개 농가(80만9천수 규모)가 겨울철 휴업에 참여하고 있다.

■ 기업형 농가·세계적 AI 유행 '뇌관'

통계청의 '2018년 3/4분기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30만 마리 이상의 산란계를 기르는 '기업형 농가'는 전국 1천920곳에 달한다.

지난 2016년 12월 '기업형 농가'에서 사육되는 산란계는 6천338만5천수였지만, 지난 9월에는 6천556만4천수로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10만~30만 수 미만을 기르는 농가는 사육두수가 562만5천수에서 473만6천수로, 10만수 미만을 기르는 농가는 97만3천수에서 92만7천수로 오히려 사육두수가 줄었다.

중소 규모의 농가가 기르는 산란계는 줄었지만 기업형 농가의 산란계 사육 규모는 증가한 셈이다.

지난 2016년 AI 사태 때도 30만~40만수를 기르는 기업형 농가에서 AI가 나타나면서 바이러스 피해가 커졌던 것을 고려하면 기업형 농가는 여전히 위험요소로 남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지난 9월 이후 중국(6건), 대만(10건), 러시아(2건) 등 모두 18차례에 걸쳐 인접 국가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됐다는 점도 위험 요소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고병원성 AI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세계적으로 AI 유행이 계속되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단계"라고 말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