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2701001891500090721.jpg
역대 최악의 크리스마스이브(24일) 급락세를 나타낸 것과는 정반대로, 기술적 반등이라고 보기에는 과도한 수준의 폭등장이 갑작스럽게 펼쳐졌다. /AP=연합뉴스

역대 최악의 크리스마스이브(24일) 급락세를 나타낸 것과는 정반대로, 기술적 반등이라고 보기에는 과도한 수준의 폭등장이 갑작스럽게 펼쳐졌다.

그만큼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날 '매수 기회'라며 시장 달래기에 나섰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으로선 일단 체면을 차린 셈이다.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22,878.45에 마감하면서 무려 1,086.25포인트(4.98%)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다우지수가 하루 1,000포인트 이상 오른 것은 122년 역사상 처음이다. 상승률로도 2009년 3월 이후로 거의 10년 만의 최대폭이다.

다우지수는 '약세장'(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으로 들어서는 벼랑 끝에서 가까스로 시간을 벌게 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16.60포인트(4.96%) 급등한 2,467.7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61.44포인트(5.84%) 오른 6,554.35에 각각 마감했다.

크리스마스 연휴기간 '소비 훈풍'이 이어진 점을 제외하면, 딱히 폭등세를 이끌 호재는 없었다.

다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대한 해임설을 잠재우는 뉴스가 종일 흘러나왔다.

케빈 하셋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파월 의장의 자리가 안전한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물론 그렇다. 100%이다"라고 답했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이 새해 초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파월 해임설'을 진화하기 위해 백악관 차원에서 다각도로 움직인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지난 24일 급락 장세가 '트럼프 리스크'에서 비롯됐다면, 백악관 측이 부랴부랴 진화에 나서면서 반등의 멍석을 깔아준 모양새다.

여기에 월스트리트 일각에서 연준이 내년에는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면서 주가지수 상승폭이 급격하게 확대됐다.

시장으로서는 연준의 긴축 기조가 분명 부담스럽지만, 그에 못지않게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흔들기'도 원치 않는다는 시그널을 명확하게 보낸 셈이다.

깜짝 오름세가 얼마나 지속할지에 대해선 자신하기 어려워 보인다.

연준의 금리 인상을 비롯해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미·중 무역전쟁과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리스크도 남아있기 때문이다.

여전히 다우지수는 고점 대비 두 자릿수대 낙폭을 기록하고 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