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0701000448200019891.jpg
재활의학과 임재영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노화로 인해 근육의 크기가 감소하고 근력이 떨어지는 '근감소증' 환자의 1년 내 사망률은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에 비해 1.8배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7일 재활의학과 임재영 교수 연구팀이 고관절 골절 환자가 보행능력을 포함해 일상생활에서 운동 기능과 삶의 질을 높이고 사망률을 줄일 수 있도록 국제적 표준 진료 지침에 따른 '한국형 통합적 골절 재활프로그램(FIRM)'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노인의학' 2018년 10월호에 실렸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임상적용을 위한 다기관 임상 연구를 통해 FIRM이 근감소증 환자에게도 실제 효과가 있는지 측정했다.

한국형 통합적 골절 재활프로그램, 즉 FIRM은 노쇠 또는 취약 골절 후 보행 능력 및 기타 신체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장·단기 재활계획하에 물리치료, 작업치료, 낙상방지교육, 퇴원 후 관리, 지역사회 연계 등을 두루 포함하는 포괄적 집중재활프로그램이다.

신체운동과 단순 보행 훈련에 집중했던 기존의 단순 재활치료에 비해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으로, 정형외과 및 재활의학과 전문의,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영양사, 간호사 등 다학제 전문가 팀접근 방식이다.

국내에서 급속히 발전하는 재활의료 분야를 노인의학 분야에 접목한 한국형 골절 치료 방법이라는 점에서 더 의미 깊다.

연구팀은 고관절 골절 수술을 받은 환자 68명을 근감소증 유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 FIRM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아시아 근감소증 진단기준(AWGS)에 따라 악력 측정을 통해 근력을 평가하고, 걸음걸이 속도로 신체기능 등을 평가한 결과 수술을 받은 68명의 환자 중에근감소증 환자는 32명이었다.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는 36명이었다.

FIRM 치료 후 기능적인 결과에 대해 추적 조사를 한 결과 두 그룹 모두 FIRM 치료를 통해 보행, 균형, 일상생활 동작 수행은 물론 삶의 질까지 향상됐다. 치료 전후 기능적 결과의 향상 정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근감소증이 있는 고관절 골절 환자는 수술 후 결과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근감소증 여부와 상관없이 재활치료를 통해 효과를 볼 수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임재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근감소증 환자도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근감소증이 없는 환자와 거의 동등한 기능적 호전을 보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면서 "근감소증을 가진 노인 골절 환자들에게도 적극적 재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남/김규식기자 sigg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