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 북미정상회담의 전격적인 발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1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한반도비핵화대책특별위원회 초청 강연 전 배포한 자료를 통해 "최근 미국 주요 인사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 관련 북미 간 소통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북한 최고지도자의 전격 방중에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김 위원장의 방러 등에 대비하면서 관련국들과 긴밀한 소통과 협의를 할 필요가 있다"며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북미 후속협상이 조속히 개최돼 북미 간 대화의 모멘텀이 유지되는 것이 무엇보다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최근 미국 내 일각에서 북미대화에 대한 회의론 등 대북 강경론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세심한 국면 관리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며 "(최근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 시진핑 주석 초청으로 북중수교 7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초 전격 방중함으로써 북중 간 긴밀한 유대 관계를 과시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2차 북미정상회담 및 김 위원장 서울 답방 등 주요 계기를 앞두고 사전 방중을 통해 한반도 문제 관련 북중 간 전략적 소통과 공조를 강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강 장관은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와 전략노선 변경을 재확인하면서 북측의 '응당한 요구'에 대한 국제사회의 호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장관은 앞으로 한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 "남북 정상 간 합의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통해 남북관계 및 비핵화의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제사회와 긴밀한 소통을 토대로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정치적 상황과 분리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사인 김한정 의원은 "2차 북미정상회담은 장소가 확정되는대로 몇 주 간의 필요한 준비 절차가 완료되면 성사될 것으로 본다고 강 장관과 의원들 사이에 교감했다"고 설명했다.
강연에 배석한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미국은 강경 일변도가 아닌 원칙 고수 입장이다. 다만 미국 조야에서 비핵화와 관련해 미국이 얻은 게 없지 않느냐는 분위기가 있는 만큼 대북제재 완화를 전제로 한 가시적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1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한반도비핵화대책특별위원회 초청 강연 전 배포한 자료를 통해 "최근 미국 주요 인사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 관련 북미 간 소통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북한 최고지도자의 전격 방중에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김 위원장의 방러 등에 대비하면서 관련국들과 긴밀한 소통과 협의를 할 필요가 있다"며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북미 후속협상이 조속히 개최돼 북미 간 대화의 모멘텀이 유지되는 것이 무엇보다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최근 미국 내 일각에서 북미대화에 대한 회의론 등 대북 강경론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세심한 국면 관리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며 "(최근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 시진핑 주석 초청으로 북중수교 7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초 전격 방중함으로써 북중 간 긴밀한 유대 관계를 과시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2차 북미정상회담 및 김 위원장 서울 답방 등 주요 계기를 앞두고 사전 방중을 통해 한반도 문제 관련 북중 간 전략적 소통과 공조를 강화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강 장관은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와 전략노선 변경을 재확인하면서 북측의 '응당한 요구'에 대한 국제사회의 호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장관은 앞으로 한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 "남북 정상 간 합의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통해 남북관계 및 비핵화의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제사회와 긴밀한 소통을 토대로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정치적 상황과 분리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사인 김한정 의원은 "2차 북미정상회담은 장소가 확정되는대로 몇 주 간의 필요한 준비 절차가 완료되면 성사될 것으로 본다고 강 장관과 의원들 사이에 교감했다"고 설명했다.
강연에 배석한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미국은 강경 일변도가 아닌 원칙 고수 입장이다. 다만 미국 조야에서 비핵화와 관련해 미국이 얻은 게 없지 않느냐는 분위기가 있는 만큼 대북제재 완화를 전제로 한 가시적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