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1501001055800049511
강효선 문화체육부 기자
문화예술 관련 취재를 하다 보면 아직 우리 사회에서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과 복지, 인식 등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옳고 그르다를 판단할 수 있는 문제들과 달리 문화예술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관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 방안을 찾는 것이 특히 어렵다.

기자 역시 문화예술인의 열악한 상황을 알게 된 건 지난해 지자체 예술단 관련 취재를 하면서다. 당시 여러 곳의 예술단 단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임금, 복지 등 내부의 문제를 접했다. 이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해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다행히 단원과 단장과의 갈등이 유독 심했던 한 예술단은 각고의 노력 끝에 단장 교체라는 작은 성과를 거뒀지만 여전히 예술단의 처우는 개선이 쉽지 않았다.

예술인의 처우는 물론, 인식 또한 부족하다고 또 한 번 느낀 건 지난 1일 자로 해체된 양주시립예술단을 보면서다. 이들은 지난달 26일 공문을 통해 예술단 해체를 통보받았다. 시립예술단은 10여 년 동안 누구보다 열심히 활동했지만, 노력의 결과는 참담했다. 사전에 단원들과 한 차례 대화도 없이 내려진 일방적 결정에 단원들은 충격에 빠졌고, 한순간에 일자리를 잃게 된 이들은 사태해결을 위한 집회를 이어나가며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이런 상황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문화향유 기회를 많은 사람에게 제공하기 위해 곳곳에서 많은 이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이 과정을 알고 문화를 접하는 사람은 소수다. 아마 문화예술을 바라보는 시간이 바뀌는 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좋은 작품을 위해, 좋은 공연을 위해, 좋은 전시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예술가들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이들을 위해 올 한해는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시선이 아주 작게나마 변화하길 소원해본다.

/강효선 문화체육부 기자 khs7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