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절벽과 웅덩이의 땅에 물류단지가 들어선다. 지난해 9월 정부는 채석장 일대에 물류단지 입점을 승인했다. 주민들이 고개를 갸웃하는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아직 복구가 되지 않은 땅, 깎아지는 듯한 절벽과 깊은 웅덩이가 있는 이곳이 어떻게 물류단지 승인을 받을 수 있었는지가 궁금하다는 것이다.
그 비밀은 '수요'와 '돈'만 있다면 어디든 물류단지를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실수요검증'에 있다. 서울과 같은 대형 시장과 인접한 경기도에서 '수요'로 발목을 잡힐 일은 없을 것이고, 수요를 바탕으로 기업대출을 받는다면 재무 분야 검증을 통과할 수 있기에 '돈'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경기도에는 물류단지가 넘쳐난다. 광주에만 운영 중이거나 계획이 잡힌 물류단지가 8곳이다. 광주 퇴촌면 주민들은 집집마다 베란다에 대문에 울타리에 '우리 가족은 퇴촌 물류단지를 반대합니다'라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상거래의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오며 물류단지는 필수 시설이 됐다. 새벽에 주문하더라도 정오면 대문 앞에 도착하는 최첨단 택배 시스템의 이면에는, 몰려드는 물류단지로 짓밟힌 농촌 주민들의 일상이 있다. 촌부(村夫)들이 원하는 것은 백 리 밖 관청에서 물류단지 승인을 결정할 때, 한 번이라도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달라는 것이다.
퇴촌물류단지 반대비상대책위원회 이창봉 위원장은 "물류단지의 영향은 근처에 사는 주민들이 받는 거잖아요. 그런데 물류단지 승인이 정확히 어떤 기준에서 어떻게 이뤄지고, 누가 그것을 평가하는지 주민들이 알 방법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신지영 정치부 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