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정상회담이 이달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린다. 그동안 잠잠했던 한반도 비핵화 논의가 다시 급물살을 타게 됐다. 회담을 위해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현재 평양에서 회담 의제인 북한의 비핵화 실행과 미국의 상응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2차 베트남 북미회담이 성공적으로 치러져 한반도에 비핵화가 성사되는 의미있는 만남이 돼야 할 것이다.

역시 2차 회담 성공의 관건도 김정은 위원장이 내놓을 비핵화 조치의 수준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북 제재의 해결을 위해선 우선 북한이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보다 과감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국제사회가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확인하고 인정할 수 있도록 핵 리스트 제공과 영변 핵 사찰 수용 같은 조치를 하는 것이 순서라는 이야기다. 그래야 제재 완화와 같은 실질적인 상응 조치도 따를 수 있는 만큼 김 위원장이 말이 아닌 행동으로 진정성 있는 제안을 내놓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각에선 현재 평양에 머무르고 있는 비건 대표가 북한으로부터 핵시설 신고 리스트를 받고 폐기와 사찰과 검증으로 이어지는 북한 비핵화 과정에 들어가는 대신, 종전선언을 포함한 '빅딜'과 함께 비핵화 상응 조치로 제재 완화 등을 포함한 '+α'를 제시할 것이란 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북한의 비핵화 없이 무리한 종전선언으로 자칫 정전체제를 관리해온 유엔사령부의 법적 근거가 사라지고, 유엔 사령관이 선포한 북방한계선(NLL)이 무력화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국민도 상당수다.

해리 해리스 주한 대사는 지난해 8월 부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종전선언은 너무 서두르면 협상 실패 시 김정은만 혜택을 본다. 한번 선언하면 전쟁을 시작하지 않는 한 되돌릴 수 없으므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며 "종전선언에는 한·미가 함께 가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우리는 이 말에 절대 동의한다. 종전선언으로 한반도에 평화가 온다면 이를 마다할 국민은 없다. 하지만 북한의 핵 폐기가 성사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종전선언은 우리의 안보 기반을 허물어뜨리는 것과 같다. 북한의 핵 실험장은 언제든 재건할 수 있지만, 종전은 선언하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트럼프에 당부하고 싶은 것은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확인한 후 종전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는 것이다. 아무튼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돼 한반도에 평화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