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1701000945300045321.jpg
사진은 닷새간의 설 명절 연휴를 보내고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지난 7일 오전 서울 광화문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인 중 동성애자를 반대하는 사람이 절반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진보로 인식하는 사람과 보수로 인식하는 사람의 비율 격차는 10%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졌고 진보가 중도 다음으로 많았다.

한국행정연구원이 2018년 9∼10월 국내 만 19∼69세 성인 8천 명을 조사해 17일 공개한 '2018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인들의 소수자 포용 경향은 전체적으로 강해지는 추세다.

동성애자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은 49.0%를 기록했다.

동성애 반대론은 2013년 62.1%, 2014년 56.9%, 2015년 57.7%, 2016년 55.8%, 2017년 57.2% 등 줄곧 하락하면서도 과반을 점하다가 이번 조사에서 처음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전과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017년보다 6.7%포인트 낮아진 62.7%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는 12.6%, 외국인 이민·노동자에 대해서는 5.7%, 결손가정 자녀에 대해서는 0.8%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답변을 했다.

이 같은 '소수자 배제 인식'은 장애인과 결손가정 자녀 부문에서 남성이 더 많았고 전과자나 동성애자, 북한이탈주민, 외국인 이민·노동자 부문에서는 여성이 더 많았다.

정치·이념 지형은 진보 측이 세를 넓히는 경향이 유지됐다.

이념 성향이 중도적이라는 응답이 47.4%로 가장 많았고 진보 31.4%, 보수 21.2% 등의 분포를 보였다. 남성, 저연령, 고소득층에서 스스로를 진보 성향이라고 여기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3년에는 진보 22.6%, 보수 31.0%였으나 진보는 꾸준히 늘고 보수는 줄어들다가 5년 만에 완전히 역전돼 진보가 10.2%포인트 더 높았다.

행복감이나 삶의 만족도를 뜻하는 '주관적 웰빙', 안전성, 국가에 대한 자긍심, 개인·집단 간 소통은 전반적으로 인식 정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금전·신체·정신적으로 어려울 때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을 뜻하는 '한계적 소통' 수준은 꾸준히 개선됐다.

목돈이 필요할 때 빌릴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2017년 25.8%에서 지난해 18.3%로, 몸이 아플 때 도와줄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11.5%에서 9.3%로 각 낮아졌다.

남성, 고연령, 저소득층이 한계적 소통에 비교적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에 의한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 가능성과 정치·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 및 5년 후 전망 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인식은 2017년보다 소폭 낮아졌다.

자신의 지위 상승 가능성은 4점 만점에 2.7점에서 2.6점으로 떨어졌고 자녀의 상승 가능성은 2.5점을 유지했다.

정치와 경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각 4.4점, 4.1점을 기록해 전년보다 0.1점, 0.2점씩 낮아졌다.

5년 후 정치·경제 상황 전망은 2017년 모두 5.2점이었다가 이번 조사에서 각 4.9점, 4.8점으로 하락했다.

2018년에 새로 생긴 문항인 민주주의 수준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6점을 기록해 '보통 이상'으로 나왔다.

성장과 분배 중 성장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2016년 19.0%, 2017년 20.6%, 2018년 21.5%로 계속 늘어났고 분배가 중요하다는 답은 각 17.1%, 15.8%, 13.7%로 하락했다.

앞으로 10년간 이뤄야 할 국가 목표로는 '고도의 경제성장'이 64.8%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2015∼2017년 두 번째로 중요한 국가 목표였던 '국방 강화'는 이번 조사에서 19.6%를 차지해 3위로 떨어졌고 '직장·지역공동체 참여 및 권한 증대'가 20.1%로 2위로 부상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