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001001264000060561.jpg
서울 강북횡단선 노선도./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7조 2천억원을 들여 목동과 청량리를 잇는 경전철 건설을 추진한다. 지하철 4호선 당고개∼남태령 구간에는 급행열차가 추가되고, 현재 공사 중인 경전철 신림선은 여의도까지 연장된다.

서울시는 2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안)'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역균형발전과 철도교통 소외지역 해소를 목표로 오는 2028년까지 총 사업비 7조 2천302억원을 투입, 경전철 6개 노선을 신설하고 경전철 2개 노선을 연장한다. 또 지하철 노선 2개를 개량하는 등 비강남권 위주의 총 10개 노선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에는 지난해 발표한 면목선·난곡선·우이신설연장선·목동선에 강북횡단선이 추가된 것이 주목된다.

강북횡단선은 완·급행 열차 운행이 가능한 25.72㎞, 19개 역의 장거리 노선으로 '강북의 9호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계획됐다. 동쪽으로는 청량리역에서 1호선·GTX-C·면목선·경의중앙선과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5호선과 연결된다. 3호선·6호선·우이신설선·서부선·9호선과도 환승이 가능하다. 시는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한산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와 자연환경지구를 통과하지 않도록 세검정로, 정릉로 하부 등은 대심도 터널을 지나도록 할 방침이다. 강북횡단선의 총사업비는 2조546억원에 달한다.

면목선은 기존 신내∼청량리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되 청량리역에서 강북횡단선과 환승하도록 했다. 목동선은 화곡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해 기존 지상 구간으로 계획한 서부트럭터미널∼강월초교 구간을 지하화할 계획이다.

서부선은 기존 새절∼서울대입구역 구간에 대피선을 2개 추가해 완·급행 열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보완, 이 노선은 남쪽으로 서울대 정문 앞까지, 신림선은 북쪽으로 여의도까지 1개 역씩 연장해 상호 환승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2019022001001264000060562.jpg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노선도./서울시 제공

개량 대상인 기존 지하철 노선은 4호선과 5호선을 손본다. 4호선은 당고개∼남태령 구간을 급행화하기로 했으며, 5호선은 공사 중인 하남선 운행을 고려해 둔촌동∼길동∼굽은다리역을 직선으로 연결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강북횡단선을 포함한 신설 경전철 노선 5개, 4호선 급행화, 5호선 직결화는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나머지 신림선, 서부선, 동북선, 위례신사선은 기존대로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

9호선 4단계 추가 연장 노선(고덕강일1∼강일)은 이번 계획에 '조건부'로 포함됐다. 오는 2021년 강일∼미사 구간과 함께 광역철도로 지정되면 추진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경제적 타당성 최소 기준(B/C 0.85 이상)을 만족하되 지역균형발전 효과가 높은 노선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10개 노선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지역균형발전 지수가 높은 난곡선 금천 연장 구간(난향동∼금천구청)과 7호선 급행화 등은 후보 노선으로 선정해 5년 후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 검토 시 사업 타당성을 재검증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 7조2천302억원 중 시비는 3조9천436억원이며, 국비로 2조3천900억원, 민간사업비로 8천966억원으로 조달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이 실현되면 철도통행시간은 평균 15%, 지하철 혼잡도는 30% 감소하고, 철도 이용이 가능한 시민은 약 40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10분 내 철도서비스 가능지역은 현재 63%에서 75%로 확대되며, 철도역 접근이 어려웠던 행정동도 기존 170개에서 104개(40.1%→24.5%)로 줄어들 것"이라며 "철도서비스 취약지역이었던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시민의 철도 이용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국토교통부 협의, 시의회 의견 정취, 주민 공청회 등을 거쳐 4월 중 국토부에 승인 요청을 할 예정이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