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본새마을금고에 관한 보도는 내부 고발에서 비롯됐다. 7년 전 일이지만, 잘못된 부분은 바로잡아야 한다는 한 금고 이사의 결단이 시발점이 됐다.
하지만 그의 용기 있는 선택은 곧 외로운 싸움으로 이어졌다. 이사회 회의에 참석하는 이사임에도 과거 회의록을 열람할 수 없었고, 적법하게 받을 수 있는 자료마저도 모조리 제출을 거부당했다. 이사회 내부적으로 '눈엣가시' 취급을 받았고, 새마을금고라는 조직 차원에서도 '긁어 부스럼'을 만드는 존재로 인식됐다. 좋은 게 좋은 거라며 적당히 넘어가자는 주변의 회유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이사회 이사들 중 단 한 사람만이라도 나와 같은 결단을 내렸다면, 이 사건의 진실은 진작에 만천하에 드러났을 것"이라는 그의 외침은 많은 것을 생각케 하는 대목이다. 결과적으로 그의 내부 고발은 정의가 아닌 조직에 누를 끼치는 행위에 불과했다.
취재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회의 내용을 유일하게 입증할 수 있는 당시 회의록은 조작 흔적이 발견됐고, 문제가 된 간부직원의 징계와 복직 과정은 의문투성이다. 금고 차원의 내부 감사 역시 적당한 선에서 마무리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해당 간부직원은 반성은커녕 한술 더 떠 이젠 이사회의 수장이 되겠다며 선거에 뛰어들었다.
그럼에도 금고 측은 이에 대한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미 다 지난 일'이라는 것이 과연 올바른 답변일까. 이 또한 다 지나가길 바라는 것인가.
/황성규 지역사회부(군포) 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