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가운데)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및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AP 합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27일 시작됐다.
전 세계는 이번 회담에서 '북한 비핵화 로드맵'이 도출될지,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마련될 것인지 등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앞서 스티븐 비건(Stephen Biegun)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지난 달 31일 스탠퍼드대의 쇼렌스타인 아·태 연구센터(Shorenstein APARC) 강연에 나와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모든 약속을 '동시적이며, 병행적으로(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대신해 대북정책을 총괄하는 대북정책 특별대표(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에 지난해 8월 임명되고 첫 공식 연설에서 밝힌 기조였다.
동시적이고 병행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은 지난해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 도출된 비전에 대한 실행 방안을 이번 2차 회담에서 도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 북한이 그동안 국제 사회에 요구해 온 '단계적 동시 행동 접근 원칙'을 일부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시작된 27일(현지시간) 회담장인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 인근이 통제되고 있다. /하노이=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해 6월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노력 확인', '전쟁포로 및 행방불명자 유골발굴 진행, 즉시 송환' 등이 포함된 공동성명을 냈다. 당시 성명에 두 정상은 "새로운 조미관계 수립이 조선반도와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면서, 호상 신뢰구축이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추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미국이 대북 제제를 완화하고 대북 적대 정책을 포기하는 등 북한을 '정상 국가'로 인정할 경우 완전한 비핵화에 이를 수 있다는 합의였고 이번 2차 회담에서 구체적 로드맵이 나올 것으로 보는 예측이 있다.
한편 미국 인터넷 매체 복스(Vox)는 지난 26일 북미가 잠정 합의(tentative deal)를 도출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잠정 합의안에는 ▲한국전쟁 종식 위한 평화선언(peace declaration) 서명 ▲한국전쟁 중 사망한 미군 유해 반환 ▲북미 상호 연락사무소(liaison offices) 설치 ▲영변 핵시설 가동 중지, 유엔 제제 해제, 미국과 한국이 참여한 공동 경제 프로젝트 가동 등이 포함돼 있다.